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이용수 372

영문명
Love and sexuality in romance of Chosun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지영(Kim Jee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0권, 325~36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애정소설의 문학적 관습을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애정관과 애정소설의 문화적 기능에 대해 추론하고 있다. '사랑'이라는 것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발견되는 방식과 절차가 다르고 그 안에 담긴 연인들의 이상과 좌절 역시 독특한 특징을 가질 만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은 애정전기류에서 파생되어 전기적이면서 환상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지만, 점차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며 남녀들의 사랑이 성장하기 어려웠던 조건을 보여주기에 이른다. 이 논문에서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감각적, 문화적 맥락을 복원하고 비유적 표현과 애정시라는 담화 양식의 활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발견되는 고급한 문학으로서의 관습적 빗장을 풀고 조선시대 애정 이야기의 특징을 좀더 쉽게 풀어내보고자 했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에서 남녀의 첫 만남부터 성애가 이루어지기까지 걸리는 시간, 만남의 장소, 연애과정과 시련,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의 비극적인 결과 등, 사랑의 세부 장면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는 거기에서 일정한 사랑의 시나리오를 읽을 수 있다. 거리에서 만난 한 여인에게 반하여 한 달간 여인의 방밖에서 밤을 지새우는 서생, 양가집 담을 넘어 들어가 깊은 규방에 감춰져 있는 처녀를 멋들어진 시 한 수로 유혹하는 남성, 귀신이 되어서도 배필을 만나 운우지락을 이룰 것을 부처님께 탄원하는 여귀, 이웃집 선비에게 연정을 품다가 못 참고 한밤중에 그의 처소에 뛰어든 처녀 등의 생동하는 인물들, 이들이 주고받는 시속에 나오는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압축하고 있는 장면들, 남녀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 사물이나 배경들, 애인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상적인 커플과 그들의 사랑이 규정되는 방식과 인용 상황들, 애정소설에서 사라진 혹은 억압되어 감추어진 관습과 그 의미 등이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한 구체적인 대상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랑에 얽힌 당대의 여러 관습들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실제적인 관습도 있겠지만 문학적인 관습이라 해야 할 것들이 더 많다.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남녀의 사랑이나 성역할을 다르게 규정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의 사랑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특수한 사랑이야기에는 사랑에 대한 당대의 관습이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첫눈에 사랑에 빠진 남녀가 현실의 제약 조건들을 극복해가는 과정은 남녀 모두에게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애정소설에 동원된 여러 가지 고사와 비유적 표현들은 그러한 그들의 고민과 원망을 담은 채 낭만적 사랑의 관습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위에서도 현실과 문학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남녀의 사랑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후사 잇기'라는 서사적 패턴을 과감히 생략하고 성애에 대해 이야기할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지만 사랑의 육체적 측면보다는 정신적 측면을 먼저 강조함으로써 사랑을 고상한 것으로 표현했다. 그 이유는 당대의 독서 관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훈적인 독법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유교적 관습은 애정소설의 독법 역시 일정 정도 제한하고 있었다. 흔히 애정소설은 '음란'한 것으로 치부되면서도 교훈적인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고 생각되었는데, 이러한 이중적인 독서 태도는 애정소설을 교훈적으로 읽는 독특한 방식을 마련하게 된다. 애정 소설에 흔히 표현된 '기이'라든가 '허망함', '망연자실' 등의 감상은 애정소설에 표현된 사랑이 현실에서는 이루기 어려운 것임을 깨달을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독서 관습이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됨을 보여주고 있다. 말하자면 조선시대 애정소설은 사랑의 실패로 인한 허망함과 인생의 씁쓸함을 느끼게 해주는 특수한 '감정교육'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상징적 차원에서 제안한 것이지만 애정소설이 씌어지고 읽혀졌던 나름의 특수한 문학적 맥락을 추정해 보는 노력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ultural function and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in Chosŭn. There were many pieces of romance which were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were of noble extraction and highly educated, but most of them couldn't have a chance to go into politics. Those romances were in general consider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writers' class and desire. The theme of love that is pointed up in romances is, however, not able to be appropriated only by men or women, and I think that the given interpretations are resulted from somewhat a male-oriented perspective. Romances of Chosŭn offer diverse sources for past ways of loving and enable us to see lovers in years past and to shape the ways of love in their time. The way of representation for love and sexuality in a romance is fraught with several kinds of interferences of main discourse at those days. In this sense, love and sexuality of romances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appropriate historical contexts and signified to retrieve the relationship and sexual politic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when those romances were at first written by men literati, they might be high quality literature. In fact, however, they were actually marginal texts in the Confucius tradition and incorporated with other novels in many narrative aspects. Those romances had been influenced and generated by Liu-chao(六朝)'s Zhi-guai(志怪) and Tang(唐)'s Chuan-qi(傳奇), which were characterized by weird and uncanny things, but they were getting close to reality, and in turn rendered the social world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relationship. Love and sexuality represented in romances, however, isn't equivalent to the reality and we should be careful to the literary convention of romance developed in correlation with reality. In most of romances, we can see the discrimination, of the character of women's love from men's love. Love of women is a romantic love; when the spring comes and the autumn ripens, heroine of romance laments her own lot and indulges in reverie. Her love comes from the incorporation of reality and fantasy. Love of men, on the contrary, is a passionate love; hero of romance is fascinated by attraction and beauty of women, and steals into her abode to make a sexual relationship with her. However, love of men is more obscure than women's because romance is rendered not by the view of women but by the perspective of men. Love in romance, as a rule, can be said a romantic love in the sense that it makes compromise with the society in the problem of system of wedding. The resources of passionate love are concealed by metaphors accompanying clichés consisted of historical and canonical events. While this means that romances of Chosŭn have structural weaknesses and fragilities, instead, we can find through them some of the desire, the anxiety and ideal couples which people of Chosŭn had cherished. Following this axis, love stories have their own typical love scenario from beginning to end of love. When we speculate on the modes of love in romances, we can find which is received and which is rejected in romances. It is wedding and chastity of women that they receive, but it is the obligation of descending that they reject. In a patriarchal and Confucian society, love and sexuality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wedding and sexuality are directly combined. In this cultural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erotic view in the relation of men and women. Romances of Chosŭn, therefore, obliterate the cliché of 'descending' that is the introductory part in other different kinds of novels and, are able to make enough room to narrate love and sexuality.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way of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sexuality in Chosŭn romances. Romances represent love and sexuality as lofty one by poem of love and in tradition of instructive reading since negative evaluat

목차

<국문초록>
1. 문화적 산물인 애정소설
2.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성격
3. 애정소설에 나타난 性愛의 문제
4. 애정소설이 '가르친' 것-감정 교육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Kim Jee young). (2005).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 , 325-367

MLA

김지영(Kim Jee young). "조선시대 애정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0.(2005): 325-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