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聖談 혹은 怪談, 그 인식적 간극

이용수 137

영문명
Epistemic Differences between Myths and Strange Stori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responses of intellectuals toward Gogi-based myth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승호(Seung-ho,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1輯, 47~7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古記』는 역사서를 지향하고 있으면서도 설화를 풍성하게 수록하고 있는 最古의 설화집이다. 『삼국유사』를 비롯, 후대 역사서, 불교서적들은 특히 『古記』소재 신화를 인용하거나 그에 대한 평을 전함으로써 유교, 불교 지식인들의 신화관을 동시에 살필 수 있는 통로가 되어주고 있다. 지식인들의 신화인식은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불가 지식인들은 대체로 신화긍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古記』가 승려 찬술물이라는 지적도 있다시피 불교 지식인들에게 신화는 단순히 역사증거의 대상으로만 의미가 한정되지 않았다. 불가 지식인들은 현상적으로 포착되지 않는 세계, 혹은 신적 능력을 갖춘 존재의 탄생과 그 위업을 전하는 신성한 이야기로 신화를 수용하였다. 그에 대한 검증이나 회의는 당연히 불경스러운 행위로 인식되었다. 반면 유교 지식인들은 史實의 추구라는 목적에서 신화를 주목할 뿐이었는데 합리적으로 해석되지 않는 내용 위주임이 확인되자 허무맹랑한 괴담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원래 유교 지식인들이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성향이 강했던데다 성리학적 세계관이 깊게 자리 잡은 사회적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교 지식인에게 『古記』는 상고사를 구명해주는 역사적 사료가 아닌 단지 비현실적 허구담일 뿐이었다. 이는 신화가 가진 제 속성과 다양한 기능대신 역사로서만 의미를 한정시켰기 때문이다. 고려말-조선초까지는 불교 지식인은 물론 유교 지식인 사이에서도 『古記』 소재 신화는 기억해야 할 민족 공동체적 이야기로 그 의의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임란 이후로 『古記』는 문헌적 가치를 인정받기는커녕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괴담집으로 취급되었는데 이는 시대, 세계관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은 반응이었다.

영문 초록

"Gogi" is similar to a history book yet is the oldest collection of tales that include plenty of tales. History books of posterity including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ges" and Buddhist books cited Gogi-based myths or made comments on the myths. So the view of Confucian and Buddhist intellectuals about myths could be inferred from these books. There was positive and negative myth awareness among intellectuals. Buddhist intellectuals took a positive attitude toward myths. As some said that "Gogi" was written by a Buddhist monk, Buddhist intellectuals didn't merely look at myths as evidence of history. They received them as holy stories about a world that couldn't be understood phenomenologically or about the birth of persons with divine power and their great accomplishments. Any attempt to verify the myths or being skeptical about them were definitely considered to be blasphemous. On the other hand, Confucian intellectuals just paid attention to myths in association with history that was proven. They depreciated myths as groundless strange stories that couldn't be interpreted in a rational manner. It seemed because they had a rational disposition that focused on empirical evidence, and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s that was immensely affected by neo-Confucian world view seemed to be another reason. For Confucian intellectuals, "Gogi" was only an unrealistic fiction, not historical materials that showed the history of ancient times. They just emphasized that myths couldn't be called history, neglecting their attributes and diverse functions. Gogi-based myths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as memorable national stories by Confucian intellectuals as well as Buddhist ones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however, this book wasn't acknowledged as worthwhile as literature. Rather, it was regarded as a book of strange stories that deluded contemporary people. Indeed, there were great disparities in myth awareness according to the times, social status and world view.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古記』소재 신화의 범위와 인용양상
3. 麗末鮮初 지식인의 신화수용 층위
4. 조선후기 지식인의 신화인식
5. 儒ㆍ佛家의 신화 수용적 특성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호(Seung-ho, Kim). (2014).聖談 혹은 怪談, 그 인식적 간극. 어문연구, 81 , 47-70

MLA

김승호(Seung-ho, Kim). "聖談 혹은 怪談, 그 인식적 간극." 어문연구, 81.(2014): 4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