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판본 ≪辟瘟新方≫의 국어학적 고찰

이용수 213

영문명
A study on ≪Byukonsinbang≫'s korea linguisticas a block[xylographic] book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송미영(Mi-young, So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1輯, 5~26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辟溫新方≫은 온역(瘟疫)에 관한 방문(方文)을 싣고 있는 책으로, 1653년(효종 4) 왕명에 의해 편찬ㆍ언해하여 간행되었다. 판본으로는 목판본과 활자본 두 가지가 전하며, 본고에서는 목판본을 대상으로 표기와 음운, 문법상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7세기 중반은 중세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로 표기와 음운, 문법 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에서 나타나는 표기ㆍ음운ㆍ문법 등의 전반적 특징에 착안하여 이를 밝히고, 중세국어와의 연장선상에서 논의한다. 중세국어의 연철(連綴) 표기는 근대에 이르러 형태음소적 표기 형태인 분철(分綴) 표기로 이어진다. 체언의 곡용에서는 체언의 뜻을 밝히기 위한 분철(分綴) 표기가 주로 나타난 반면, 용언의 활용에서는 여전히 연철(連綴) 표기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음소적 표기와 형태음소적 표기가 혼재된 중철(重綴) 표기가 나타난다. 'ㅂ계, ㅄ계, ㅅ계'의 합용병서에서 'ㅄ계'가 보이지 않으며, 된소리 표기는 합용병서 표기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음절말 'ㅅ'과 'ㄷ'의 혼란과 단어의 형태를 달리 표기한 혼기 양상이 두드러진다. 어간의 재구조화, 'ㅇ'의 사용 양상도 특징적이다. 음운현상으로는 유기음화가 적극적이며, 경음화와 비음화 현상도 더불어 나타난다. 처격조사는 '/ 의'와 '에/예'로, '애'가 실현되지 않으며, 선어말 어미 '-오/우-'의 쇠퇴, 명사형 어미 '-기'와 주격 조사 '가'의 실현, 보조사 '식'과 '야'가 보인다. 이처럼 ≪辟溫新方≫은 근대국어 초기의 양상을 방증(傍證)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영문 초록

≪Byukonsinbang≫was published a book which is prescribed epidemic and noted on Korean at 1653(Hyojong4). It passed 2 type down as a block book and printed book. A block book oriented this study is focused on feature for orthography,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phenomena. The mid-17century when is a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Korean to the modern, It is shown that has varied forms about orthography,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phenomena. Therefore, It is a study which has a view on a orthography,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phenomena in all its feature in the literature, and This study continues a line of middle Korean. The Syllable writing in middle Korean changed the continual writing which is a morphemic written form on modern korean. While it was shown that used the continual writing, because that was clearly definitized with a substantive on inflectional ending, For inflected a predicate, It is mainly used a syllable writing as ever. Also, The Notation of Double Spelling took a form which was mixed a phonemic writing with morphemic writing in processing. For writing the consonant characters laterally attached, A group of ㅄ disappears in groups of ㅂ, ㅄ, and ㅅ, as well as a fortis writing show it up with writing the same consonant characters laterally attached. Confusing with using the 'ㅅ'and 'ㄷ' as syllable finals and the mean different form outstand together for processing. furthermore, those of them have a characteristic as restructural stem and using 'ㅇ'. It is liable to be an aspirate for phonological phenomen and occurring glottalization and nasalization on ≪Byukonsinbang≫. also In case of Locative case marker ' /의' have changed '에/예' and '애' has not changed. '-오/우-' as a prefinal ending has extinguished. The '-기' as nominalizer ending and '가' as nominative positoin appear on. it is shown it up '식' and '야' as particule auxiliaire. Like these case, ≪Byukonsinbang≫ has value as a circumstantial evidence material in early modern korea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표기법
3. 음운현상
4. 문법 현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영(Mi-young, Song). (2014).목판본 ≪辟瘟新方≫의 국어학적 고찰. 어문연구, 81 , 5-26

MLA

송미영(Mi-young, Song). "목판본 ≪辟瘟新方≫의 국어학적 고찰." 어문연구, 81.(2014):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