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Sublime Found in Lee Cheong Jun’s 『In Search of Lost Words』 『The Person from Namdo』 ser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주미(Lee, joo-m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0輯, 407~425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In Search of Lost Words』 『The Person from Namdo』 series trace the meaning of an unreasonable and invisible world, we have to examine its artistic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sublime.
In his novel, 『In Search of Lost Words』, the author gets to experience the sublime through the extreme separation of the signifier and signified. And in 「Floating Words」, the main character realizes the revenge of words with the event of telephone lines crossed. The impact on ordinary life causes confusion and terror. And this forms a decisive chance to see the world itself in that ordinary life. 「Talking in the Nightmare」 reveals the ugliness of rumor. Rumor, the words with no ground, causes primitive terror and lets us experience the sublime.
In 『The Person from Namdo』, the author attempts to express what cannot be expressed to show the sublime. And the sublime regards the essence of the world as chaos. Lee Cheong Jun helps us to meditate on the invisible world through Pansori and also the clear image reflected on a blind woman’s eyes.
The sublime is aesthetic experience of which subject is an appreciator. Lee Cheong Jun novels’ multi-layered structure and open ending let readers have an attitude to be self-reflective and become the creator of the sublim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실체 잃은 말들과 원본 없는 말들
3. 숨겨진 세계와 표현할 수 없는 것
4. 부정을 통한 긍정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최초의 완역본 『신약젼셔』(1900-1904-1906)의 완성 과정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공판기록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 후반 독자들의 자발적 문예운동이 가진 특징과 의의
- 『만언사』 읽기와 경험을 활용한 글쓰기
- 신광한(申光漢)의 삶의 태도와 소옹(邵雍) 지향
- ‘X 없다’ 형의 어휘화에 대하여
- ‘금기’ 코드로 풀어보는 <숙영낭자전>의 여성주의적 시각
- 권정생의 「무명 저고리와 엄마」 연구
- 권정생 동화를 관통하는 민속적인 것들의 의미
-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으)니’의 위상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어문규범 실태 조사와 능력 평가
- 차자표기 ‘詞, 思, 史, 事’의 해독
- 박지원의 비지류(碑誌類) 산문(散文)에 나타난 ‘효(孝)’의 형상과 의미
- 조선조 무등산 관련 한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명주보월빙> 연작에 나타난 우부형(愚婦型) 인물의 양상과 의미* -‘연군주’와 ‘연희벽’ 숙질(叔姪)을 중심으로-
- 『진길전』의 이본과 서사적 특징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