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 연구
이용수 46
- 영문명
- A Study on Eungje-Eobyong-sixty-two poems by Go Gyong-myo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황수정(Hwang, Soo-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0輯, 127~150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aesthetic aspects of Eungje-Eobyong-sixty-two poems(應製御屛六十二詠) by Jebong, Go Gyong-myong. It is a collection of pictorial poetry, poetry of spiritual beings, and poetry written by the order of the king. King Myongjong showed 62 scrolls of paintings he had collected to Jebong and ordered him to write poetry about them. That is, it was a solo project executed by the order of the king. The paintings show flowers, grass, trees, insects, fish, birds, and other animals. In particular, as many of them display birds, the poetry described diverse types of birds dynamicall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it: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poetry focusing on its epilogue.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oetry as pictural pieces were discovered. In particular, the royal family's interest in the aesthetic aspect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king and Jebong were understood.
Then, through expressive methods, the aesthetic aspects of poetry by Jebong were revealed. Through this content the descriptions of spiritual beings, nobles and solemn beauty was examined. The dynamic status, which was well-captured in the paintings, was properly detailed in the poetry. The vivid realism was well layed out in it. Therefore, the natural aestheticism in poetic expression was impressive. Finally, the parodic beauty was made vivid through innovative concepts. Jebong's poetry was not only faithful only to the paintings but he also reinterpreted the paintings through his aesthetic sense. That is, he exerted his aesthetic emotions as well as expressive power for the paintings with the addition of creative ideas. Therefore, he criticized the contemporary status of his society sharply and was aware of it through parody.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ained solemnity, nature, and parody a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ungje-Eobyong-sixty-two poems(應製御屛六十二詠) by Jebong.
목차
1. 머리말
2. 『應製御屛六十二詠』의 표현 양상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최초의 완역본 『신약젼셔』(1900-1904-1906)의 완성 과정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공판기록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 후반 독자들의 자발적 문예운동이 가진 특징과 의의
- 『만언사』 읽기와 경험을 활용한 글쓰기
- 신광한(申光漢)의 삶의 태도와 소옹(邵雍) 지향
- ‘X 없다’ 형의 어휘화에 대하여
- ‘금기’ 코드로 풀어보는 <숙영낭자전>의 여성주의적 시각
- 권정생의 「무명 저고리와 엄마」 연구
- 권정생 동화를 관통하는 민속적인 것들의 의미
-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으)니’의 위상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어문규범 실태 조사와 능력 평가
- 차자표기 ‘詞, 思, 史, 事’의 해독
- 박지원의 비지류(碑誌類) 산문(散文)에 나타난 ‘효(孝)’의 형상과 의미
- 조선조 무등산 관련 한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