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지원의 비지류(碑誌類) 산문(散文)에 나타난 ‘효(孝)’의 형상과 의미
이용수 159
- 영문명
- Shape and meaning of filial duty in Park Ji-won’s Bijiryu prose - Focused on
and -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순희(Jeong, Sunl-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0輯, 177~20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ark Ji-won thinks that filial duty is not a unique sign of notion, abstraction, and daily life . Yegun's aspects of being dutiful and devoted are only part of the process that must be practiced in pursuing life. Filial duty (being a devoted son) is considered by Park Ji-won as a part of human figure fending concretely and genuinely minor in daily life. In other words, Park Ji-won thinks filial duty is daily life. Park Ji-won asks whether filial duty as daily life can be expressed or are there no derived problems when it is showed specifically in . He also raises the issue that the dutiful life of the deoted son is difficult to express concretely and its expressions can be violently exposed to stealthful scope of daily life that it doesn't want to reveal to Yungun.
and are regarded as identical works separated into two parts by the author's perspective, use of similar words and topic connection at filial duty, although they are each about different characters.
Bijiryu, dealing with filial duty, generally emphasizes filial behavior and dutiful heart to target people and explain their deeds in detail. However, Bijiryu of Park Ji-won pays attention to meaning and expression of filial duty, its expression mode and their problems. Park Ji-won is not basically interested in designating the devoted person to target people and the filial duty.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s that filial duty becomes particular affairs separated from daily life
목차
1. 서언
2. ‘효’란 무엇인가?: ‘일상’으로서의 효
3. ‘효’를 어떻게 표현하는가?: ‘일상’의 가시화와 은폐의 사이
4. 표현과 주제의 공유를 통한 작품의 연결 및 확장-결어를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 최초의 완역본 『신약젼셔』(1900-1904-1906)의 완성 과정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공판기록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 후반 독자들의 자발적 문예운동이 가진 특징과 의의
- 『만언사』 읽기와 경험을 활용한 글쓰기
- 신광한(申光漢)의 삶의 태도와 소옹(邵雍) 지향
- ‘X 없다’ 형의 어휘화에 대하여
- ‘금기’ 코드로 풀어보는 <숙영낭자전>의 여성주의적 시각
- 권정생의 「무명 저고리와 엄마」 연구
- 권정생 동화를 관통하는 민속적인 것들의 의미
-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으)니’의 위상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어문규범 실태 조사와 능력 평가
- 차자표기 ‘詞, 思, 史, 事’의 해독
- 박지원의 비지류(碑誌類) 산문(散文)에 나타난 ‘효(孝)’의 형상과 의미
- 조선조 무등산 관련 한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