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삼의당 유고의 양면성과 실록성

이용수 181

영문명
Elasticity and Contradiction in Kim Sameuidang's Life and Literature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월영(Lee, Weol-yo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8輯, 207~23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의당은 몰락한 양반집안 여성문인으로 집안을 부흥시키기 위해 분투했던 사실과 내면적 정서를 시문으로 기록했다. 본고는 삼의당 문학이 지니는 이러한 실록적 특성에 주목하고 그녀의 시문이 드러내는 삶의 과정을 재구성한 다음, 모순되는 양상의 문학 현상을 분석하여 그에 내포된 의미를 해석하였다. 남원시절, 남편의 과거시험 합격에 대한 집착은 삼의당의 삶을 관통해, 그 시절 시문은 거의 남편의 과시행보와 관련된다. 남편은 15년 동안 入山과 入京을 거듭하며 과거를 준비하고 시험을 치렀지만 결국 실패했고 생활고에 밀려 진안으로 이주한다. 진안생활 초기에는 농사꾼으로서 안분자족했으며 삼의당의 관심도 남편에서 가족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친족의 喪事를 연이어 겪고 혼사를 코 앞에 둔 딸이 죽는 슬픔을 겪었으며, 궁핍이 극에 달한 생활고에 시달린다. 삼의당은 이처럼 거듭된 시련을 겪으면서 오히려 삶을 관조하는 인생관을 가지며 識者로서의 태도를 견지한다. 그런데 향시에 합격하고 회시를 보기위해 서울로 떠나는 남편을 보내며 쓴 절망적인 시를 마지막으로 절필한다. 남원시절, 남편과의 관계에서 공식적으로 쓴 시는 엄격한 도리와 당위를 말한 반면, 내면적인 자신의 정서를 표현한 시는 閨怨으로 집중해 양면성을 드러낸다. 공식적인 페르소나와 사적인 내면의 얼굴이 갈등하면서 병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안시절을 지배하는 시는 閑情을 읊은 卽事詩이다. 과거급제에 대한 집착의 견인력에서 풀려나 남편과 함께 하는 이완된 전원생활을 읊은 한정시가 진안시절 초기시를 대변하는 것이다. 김삼의당유고는 현실의 좌절을 상상적인 원망충족으로 승화시킨 '여성신분상승담'의 실제를 확인시켜준다. 19세기 향촌의 한 몰락 양반가의 생활사를 그대로 드러냄과 동시에 성취욕 강한 비범한 조선조 여성의 비애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실록적인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Sameuidang was a woman writer of upper-class family who made strenuous efforts to restore her collapsed family and put such efforts into her poems and writings together with her inner emotions. Focusing on her authentic histor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process about her life the sentences in her poems reveal, and then tried to evaluate its connotational meaning through the analysis of contradictive phenomena among her literary works. When she once lived in Namwon, she devoted herself to her husband's success in the "Kwago," the highest-level state exam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which made her life locked in the adhesive shade, as she pursued only her husband's success. For the reason, her poems and writings were mostly related to her husband's behaviors to seek after the 'Kwago.' Though her husband had repeated to enter the mountain and the capitial to prepare and take the exam for 15 years, he finally failed in it, which caused his family to be poverty-stricken and at last move to Jinan. His family settled down in Jinan so as to find a new way out of a life of extreme poverty. In the beginning stage of his life there, her husband showed the attitude to be content amid poverty and take delight in his way of life. Then Sameuidang's concern was expanded to her family members from her husband. But her life in Jinan was not peaceful. She continuously suffered from some terrible misfortunes like both some relatives' deaths and her daughter's death just before her wedding ceremony. She was at the height of sadness and extremely poverty-stricken beyond her control. Her repeated ordeals, however, led her to develop a way of a meditative life and pursue an attitude of intelligent people with good senses. Unexpectedly, she stopped her writings and left her last desperate poem to the world, which was written when she sent her husband to Seoul for the 'Hoesi[會試]' after 'Hyangsi[鄕試]' he passed. It was probably thought that she lost her will to lead her life, since there was not a possibility her husband would pass the 'Kwago' any more unlike her old days when she expected her husband's success in it. Whereas most of her poems put an emphasis on obligations and dut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husband and her during her stay in Namwon, some poems on her inner emotion dealt with 'Kyuwon[閨怨]' towards husband. This is an ironical contradiction her poems obviously have. It is certain that Sameuidang's public persona not only conflicted but also coexisted with her private inner identityThe poems written in her Jinan days belonged to 'Juksasi[卽事詩]' related to her leisure-sentiment. Her 'Kyuwon' poems are due to the counteraction from her strong desire for husband's success in the exam. On the other hand, her 'leisure-emotion poems[閑情詩]' compared a leisured, rustic life with husband to a hermitic life at Arcadia. Her poetic emotion was changed to an idle sentiment from a broken heart. Kim Sameuidang posthumous manuscripts clarifies what 'an discourse to upgrade a woman's social position' really now defines as the one to sublimate her real discouragement into a imaginary satisfaction of aspirations. As literary works her posthumous manuscripts not only show us a life history of the collapsed upper-class family at a country village of 19th century, but also reveal the grief of a woman in Chosun Dynasty, having a direct inclination of authentic chronicles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삼의당 삶의 변화와 그 의미
3. 詩文의 양면성과 그 의미
4. 삼의당유고의 여성문학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월영(Lee, Weol-young). (2013).김삼의당 유고의 양면성과 실록성. 어문연구, 78 , 207-232

MLA

이월영(Lee, Weol-young). "김삼의당 유고의 양면성과 실록성." 어문연구, 78.(2013): 207-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