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쳥암녹>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이용수 23

영문명
The Meaning and Expression Aspect of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송주희(Song Ju-h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7輯, 171~195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경산 사재동 교수가 고서상에서 구입하여 소장해오다가 현재는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의 경산문고에 이관된 <쳥암녹>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국문전용의 여성 필체로 전장이 72매인 중장편이다. 작품 후언을 통해 '이 소져'가 필사자이거나 유통자임을 알 수 있다. 갑인년 11월 4일에 필사를 시작하여 12월에 마쳤는데, 지질과 묵색이 고태하고 근대 지향적 주제임을 감안할 때 필사시기의 하한은 1914년이고, 이를 기점으로 1854년이나 1794년 등으로 소급할 수 있겠다. 그러나 1914년으로 추정할 때 작품의 내용이나 형상화 방식이 부합된다. 다음으로 이 작품의 형상화 양상은 사건의 주요 인물과 그들의 행적 및 성격에 따라 절대악을 통한 강고한 세계 구축, 조력자를 통한 판타지적 문제해결, 유약한 자아의 긍휼적 애정 성취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쳥암녹>은 혼사장애와 극복이 형상화의 주된 내용으로 주인공의 결연에 갑작스러운 폭력이 가해지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조력자가 등장하며, 두 주인공은 나약하게 절대적 세계에 휘둘리다가 주변인들의 도움으로 어렵게 애정을 성취한다. 이것이 핵심적인 화소이자 사건의 중추로, 이를 통하여 작품의 가치나 문학사적인 의의 등을 유추할 수 있다. 이어서 <쳥암녹>의 문학사적 의미와 한계점을 파악해 보았다. 이 작품은 혼사 장애, 기봉, 변복, 조력 등 다양한 화소를 적절히 활용하여 성취되는 애정을 그리고 있다. 다만 애정을 성취하는 인물들의 나약함을 있는 그대로 노출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작품을 형상화한다. 이러한 기법은 고전소설에서 일반적이지 않는 것으로, 근대적인 소시민의 애정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더욱이 절대악이 척결되지 않고 오히려 악행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고전소설의 도식화된 권선징악을 탈피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이 작품의 근대지향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고난을 겪고 일상에 복귀한 두 주인공의 완전한 결연이 정절을 지켰기에 가능하다는 인식은 근대지향의 애정관보다는 중세적인 의식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이 작품이 근대를 지향하는 한편, 중세를 수렴하면서 나타난 특징이라 하겠다. 즉 문명의 교차기에 신구문명을 한 자리에서 다루어 빚어진 현상인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s on "Chyeongamnok," a book which was transferred to Gyeongsanmungo of the Jungang Libra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Professor Gyeongsan Sah Jae-dong possessed after purchasing from an antique book shop. The book is in femal writing exclusive for Korean, and is composed of a total of 72 pages, being a medium or long length book. Based on the epilogue of the writing, one may assume that 'Lee Sojyeo' is the author or the circulator. The writing started on November 4th of the Gapin year and was completed in December, thus,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aper quality and ink color is antique and that the theme is modern-oriented, the latest possible writing period would be 1914, and may go back to 1854 or 1794. However, the contents or expression method of the writing corresponds to the year 1914. Next, the expression aspect of this work was examined through constructing a solid world through an absolute evil depending on the main characters, their tracks, and characteristics, fantasy-like problem solving through a supporter, and achievement of compassionate love by a vulnerable ego. "Chyeongamnok" is a story where the obstacles of marriage and overcoming such obstacles form the main contents of expression, and where sudden violence is impo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main characters, a supporter appear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such violence, and the two main characters achieve their love with difficulty through the help of other characters after feebly being swayed by the absolute world. This is the core pixel and central element of the case, which allow readers to deduct the meaning based on literary history or the value of the book. The meaning based on literary history and the limits of "Chyeongamnok" was examined as well. This book expresses the achievement of love by adequately using various pixels such as marriage obstacle, strange meetings, disguises, and support. This work further realistically expresses the story by exposing the vulnerability of the characters that achieve love. Such method shows the love of modern day people, which is not general in classical novels. Moreover, the book shows evil being repeated rather than the absolute evil being eradicated, which is noticeable since it escapes from the schematism of didactic themes in classical novels. However, the awarenes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haracters, who returned to their daily lives after going through hardships, was able to reach perfection because they kept their fidelity is a result of applying the consciousness of medieval times rather than modern-oriented love. This aspect appeared because of pursuing values of the modern era while reflecting the awareness of the medieval times. In other words, this phenomenon appeared by dealing with the old and new civilization at an intersecting perio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서지 사항과 경개
3. <쳥암녹>의 형상화 양상
4. <쳥암녹>의 형상화와 문학사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주희(Song Ju-hee). (2013).<쳥암녹>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어문연구, 77 , 171-195

MLA

송주희(Song Ju-hee). "<쳥암녹>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어문연구, 77.(2013): 171-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