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승집단에 따른 기억의 투사양상

이용수 106

영문명
The Aspect of Projection in Memory According to Group of Transmission -Focusing on Transmission of Jinpyo(眞表)-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승호(Kim, Seung-Ho)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7輯, 117~14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眞表이야기는 삼국시기부터 최근까지 전승력을 유지하고 있는 드문 사례로 전승의 논의대상으로는 매우 적합하다. 본고는 전승의 요소 가운데 전승자를 중심으로 진표이야기의 전승 계층을 불가,유가,속가로 나누어 각 전승담의 내용,형식,주제,등에 나타나는 특성을 헤아려 보고자 했다. 佛家에서 전해지고 기록된 전승들은 한결같이 진표의 일생 전체를 서사시간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민간의 진표전승을 적극 받아들이되 俗的 요소가 강한 것은 배제하고 성스러운 내용 단위로 선별하여 일대기를 엮어가는 것이야말로 이들 전승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宋高僧傳』, 『鉢淵藪石記』, 『三國遺事』에 투영된 진표는 중생을 구제, 교화하는 것은 물론 미물들마저 불법의 세계로 인도하는 초월적 존재로서 부각된다. 이에 반해 儒家에서는 진표를 현세적 도덕률로 우선시되는 효행의 실천자로 규정하는데 인색함이 없다. 특히 조선시기 유자들은 진표전승을 통해 죽음을 마다않는 수행, 절에 매인 몸이면서도 부모에 전력하는 효자로서의 덕행을 무엇보다 강조하고 있다. 俗家의 전승에 나타나는 진표는 고승, 혹은 역사적 위인이 아닌 주어진 삶을 불평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운명의 소유자로 규정된다. 한때 그는 꿈을 성취하지만 신분이란 울타리에 다시 갇혀 좌절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속가의 진표전승은 역사적 인물로서 진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 자신들을 투사시킬 대상으로 진표를 선택했다고 보아야 한다. 진표전승을 통해 우리는 전승자란 이야기를 듣고 전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이야기를 변이시키고 나아가 자기 중심적인 이야기로 재편해가는 데 역동성을 발휘하는 존재임을 확인하게 된다.

영문 초록

As a story of Jinpyo(眞表) is a rare case that has been maintained the transmission power until recently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it is very suitable for the discussion subject of trans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that are shown in contents, form, and theme in each of transmission remarks by dividing the transmission class of Jinpyo story into Buddhist(佛家), Confucian(儒家), general public(俗家) focusing on transmitters among elements of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s, which were recorded with being remembered in Buddhist, show tendency of consistently accepting the whole life of Jinpyo with the narrative time. What proceeds with compiling a life story by excluding what is strong in secular element and sorting it out with unit of holy contents with positively accepting the transmission of Jinpyo in the private can be said just to be characteristic of being shown in these transmissions. Jinpyo, which was projected in Songgoseungjeon(宋高僧 傳), Balyeonsuseokgi(鉢淵籔石記)), Samgukyusa(三國遺事), is highlighted as the transcendental existence of guiding even microscopic organisms to the world of Buddhism as well as saving and civilizing human beings. Contrary to this, Confucian has an open hand in prescribing Jinpyo as a doer of filial piety, which is prioritized as the unspiritual moral sense. Especially, confucian intellectuals in Joseon period are emphasizing virtuous conduct, above all, as a dutiful son of concentrating own energies on parents even with taking ascetic exercises of not disliking death through transmitting Jinpyo and with being bound to temple. Jinpyo, which was shown in the transmission of general public, is prescribed as an owner of destiny that cannot help accepting the given life without a murmur, not a high priest or a historical great man. He achieves a dream once, but comes to inevitably suffer frustration by being confined in fence once again. The transmission of Jinpyo(眞表) in general public is not what implies Jinpyo as a historical figure, but needs to be regarded as what indicates people themselves. Through transmitting Jinpyo, we come to definitely confirm that transmitter is existence of changing a story and further curving a story focusing on self, not passive existence of delivering with listening to a stor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진표전승의 범위와 전승자 집단
3. 佛家, 존숭의 시선과 聖跡의 현시
4. 儒家, 外道에서 발견한 효행
5. 俗家, 민중 꿈의 실현과 좌절
6.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호(Kim, Seung-Ho). (2013).전승집단에 따른 기억의 투사양상. 어문연구, 77 , 117-140

MLA

김승호(Kim, Seung-Ho). "전승집단에 따른 기억의 투사양상." 어문연구, 77.(2013): 11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