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이용수 214

영문명
Research on Jintaek Shin, Gwang-ha's DongyuGihaeng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박우훈(Woo-hun, Park)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9輯, 193~220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震澤 申光河(1729∼1796)의 금강산 기행문 <東遊紀行>은 알려진 금강산 기행문중 最長이며 서술된 여행기간이 가장 길다. 그 구성은 '①준비→ ②路程→ ③유람→ ④回程→ ⑤마무리'로 되어 있다. ①∼③은, 漢陽에서 친구 등을 만나고, 길을 떠나 금강산에 도착하여, 內ㆍ外金剛과 海金剛을 유람한 부분이다. ④回程은, 네 부분으로 나뉘는데 襄陽에서의 旅程이 비중 있게 서술되어 있다. ⑤에서 여행기간과 왕복거리를 밝혔는데 출발지와 도착지가 다른 점이 남다르다. 신광하는 鐵原ㆍ金城 등을 거쳐 금강산에 도착, 내ㆍ외금강에서 長安寺ㆍ毘爐峰 등을 구경했는데, 접근이 쉽지 않은 곳을 모두 들렀다. 해금강에서는 三日湖ㆍ四仙亭 등을 둘러보고 襄陽에 도착해서는 丁範祖와 지냈다. 이후 양양을 출발하여 大關嶺ㆍ原州 등을 거쳐 한양에 와 果川 등을 거쳐 韓山에 도착한다. 여행은 56일, 왕복 거리는 2천여 리이다. 回程의 기일이 매우 긴 점이 특이하다. 오랫동안 금강산 유람을 갈망했던 신광하의 여행을 주위에서 극력 만류하는데 이를 그는 단호히 물리친다. 여행을 떠나며 지은 詩에는, 유람을 큰형님과 함께 떠나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소망을 이루게 되었다는 감격이 담겨 있다. 금강산 여행에 대한 결의가 단호하기에 위험한 곳을 모두 둘러보았다. 금강산 유람은 외로운 여행길이었다. 주로 말을 이용한 신광하는 혼자 금강산 유람에 나섰는데 이는 이례적이다. 그는 '홀로 떠난다'는 사실을, 특히 두 형님과 함께하지 못함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했다. <東遊紀行> 서술의 대체적인 경향은 의론이 위주가 아닌 事象의 사실적 묘사에 주력했다. 경관을 대하며 그 경관에서 어떤 철학적 의미를 발견하려고 하기 보다는 그 모습을 사실적으로 혹은 느낌을 여실히 드러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7ㆍ8세기 김창협과 그 門下의 금강산기행문과 일맥상통한다. 대상의 모습 혹은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표현법으로 우선 직유법을 사용한 참신한 비유적 표현이 눈에 띤다. 天逸臺에서 본 毘盧峰ㆍ望高峰의 기이한 모습을 그린 부분에서는 열거법을 적절하게 사용했다. 또한 생략을 수반한 반복, 抑揚, 謙讓語法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다. 신광하에게 있어 금강산 여행의 의미는 고뇌의 해소와 자유로움의 謳歌이다. 여행은 그가 그동안의 오랜 떠돌이 생활로 인해 생긴 근심을 사라지게 했고 구속에서 벗어나게 해주었다. 都城의 門은 구속의 세계와 자유로운 세계를 구분 짓는 표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금강산은, 그동안 생활했던 고뇌의 공간 또는 구속의 공간과 구별되는 새로운 세계이다. 자유로움의 구가는 襄陽에서 丁範祖와 함께한 생활에 대한 서술에서 잘 드러난다.

영문 초록

Jintaek Shin Gwang-ha's travel essay, DongyuGihaeng, is the finest amongst the known travel essays of Mount Kumgang and describes the longest journey. It consists of 1. Preparation, 2. The Journey, 3. Sight-seeing, 4. The Return Trip, and 5. Finale. 1. to 3. involves meeting with friends in Hanyang, going on the journey to Mount Kumgang, and touring the inner, outer, and sea Kumgang. The Return Trip is separated into four parts, with the journey through Yangyang described in detail. In 5. the time traveled and the distance to and from is described. What is notable is that the point of departure and the final destination are different. Shin Gwang-ha traveled through Cheolwon and Geumseong to arrive at Kumgang Mountain. In inner and outer Kumgang he toured Jangan-sa and Biro-bong, visiting all of the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In sea Kumgang he visited Samil-ho and at Yangyang he spent time with JeongBeom-jo. After this he departed from Yangyang, traveling through Daegwallyeong and Wonju to Hanyang. He then passes through Gwacheon and arrives at Hansan. The trip took a total of 56 days, covering a distance of 2000 ri, or roughly 800 kilometer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return trip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Others attempted to dissuade Shin Gwang-ha, who so desired to tour the Kumgang Mountain, in vain. The poem he wrote as he departed, describes his regret at not being able to go together with his oldest brother as well as the thrill at accomplishing his wish. His determination in visiting Mount Kumgang was such that he toured all the dangerous sites. The trip was a lonely one. Shin Gwang-ha went to tour the Kumgang Mountain alone, an unusual decision. On traveling alone, he greatly regretted not being able to go with his two older brothers. The overall style of the prose in DongyuGihaeng focuses on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oughts as opposed to opinions. Rather than trying to discover philosophical meaning behind the scenery, emphasis was placed on trying to reveal the feelings concerning the scenery or to describe the scenery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This tendency falls in line with the travel essays written by Kim Chang-hyeop and his studen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innovative use of similes to effectively convey the form and feel of the subject is especially noteworthy. Enumeration is used appropriately when describing the strange form of Biro-bong and Mango-bong as seen from Cheonil-dae. Other rhetorical devices include omission alongside repetition, accentuation, and honorifics. For Shin Gwang-ha, the trip to Kumgang meant the relief of anguish and the celebration of freedom. The journey alleviated the worries that came from a long life of wandering, freeing him from those shackles. The gate of the capital city can be thought of as a symbol of separation between the free world and the shackled world. Therefore Kumgang Mountain is a new world separated from the realm of anguish or shackles that one used to live. The celebration of freedom is revealed effectively in the description of the time spent with Jeong Beom-j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構成과 旅程
Ⅲ. 宿願의 決行, 외로운 여행길
Ⅳ. 敍述의 傾向과 表現
Ⅴ. 苦惱의 解消, 자유로움의 謳歌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우훈(Woo-hun, Park). (2014).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어문연구, 79 , 193-220

MLA

박우훈(Woo-hun, Park). "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어문연구, 79.(2014): 193-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