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유원 <海東樂府>의 『增補文獻備考』「樂考」의 고려가요 가화 수용과 그 시화

이용수 192

영문명
Reception and Poeticization by Yi Yu-won's Haedongakbu of the Tales of Music Related to Goryeo Songs Included in Akgo in Jeungbomunheonbig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기영(Ki-young,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9輯, 117~14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동악부>를 보면, 「악고」의 고려가요 배열 순서를 쫓아 <동동>이하 <정과정>에 이르기까지, 「악고」의 고려가요 가화를 바탕으로 창작한 17편의 악부시 작품을 배열하였다. 그리고 맨 끝에 「악고」에서 고려노래로 파악하고도 고구려 속악의 위치에 두었던 작품인 <延陽歌>를, 역시 가화를 바탕으로 해 악부시를 창작해 덧붙였다. 다만 <동동>은, 『고려사』「악지」의 <장생포> 가화를 받아들인 「악고」의 <동동> 가화를 수용하여 악부시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해동악부>의 가화를 보면, 『증보문헌비고』「악고」의 작품에 대한 가화와 1) 동일하게 수록한 경우도 있지만, 2) 생략, 3) 단어 대체, 4) 단어 및 구절 대체, 5) 생략과 도치, 6) 생략과 도치 및 단어 추가, 7) 생략과 단어 대체, 8) 생략과 구절 대체의 방식으로 「악고」의 번잡한 내용은 생략하고 불충분한 내용은 보완하여 수용 내용의 문맥을 보다 명료히 하였다. 1)ㆍ3)ㆍ4)ㆍ5)ㆍ6)에는 1작품, 8)에는 2작품, 2)에는 4작품, 7)에는 7작품이 해당한다. <해동악부>의 시 형식은 이제현의 <소악부>에서 연원한 7언절구 형식을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시화양상은 가화를 가감없이 사실 그대로 시화한 11편의 작품들과 가화의 내용에 작자의 창의적 생각을 더해 창작한 7편의 작품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악지」ㆍ「악고」를 거쳐 후대에 전승된 고려가요의 가화가 19세기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발휘하여, 이유원 같은 당돼 지식인에게까지도 문학적 형상화의 창작적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A survey of the musical lyrics related to Goryeo songs that appear in Yi Yu-won's Haedongakbu shows that the collection presents seventeen musical lyrics created based on the tales of music related to Goryeo songs which were included in Akgo by adopting the arrangement of Goryeo songs in the review. And as for Yeonyangga, a work listed at the end which was previously categorized as Goguryeo popular music despite its verification as a Goryeo song in Akgo, the tale of music in Akgo was received and lyrics were created based on it. Yet, Dongdong was rendered as lyrics by receiving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Dongdong in Akgo, which received the tale of music related to Jangsaengpo in Akji. A survey of the tales of music in Haedongakbu shows that while 1) they are identical as those appearing in Akgo of Jeungbomunheonbigo, t6he context for the included contents is further clarified by omitting complex details and complementing insufficient parts of Akgo in such methods as 2) omission, 3) word substitution, 4) word and phrase substitution, 5) omission and inversion, 6) omission, inversion, and addition of words, 7) omission and word substitution, and 8) omission and phrase substitution. One work falls under the category of 1), 2), 3), 4), 5), and 6), and two works fall under the category of 8), while four works oolong to 2) and seven works oolong to 7). The poetic form shown in Haedongakbu consistently adopts the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that originated from Yi Je-hyeon's Soakbu. In terms of the aspect of poeticization, they may be divided into eleven pieces that poeticized the literal version of the tales of music and seven pieces that combined the tales of music with the writer's creative though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가화 수용의 방법
Ⅲ. 가화의 시화 양상
Ⅳ. 결론-가화 수용과 그 시화의 의미 파악을 겸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영(Ki-young, Kim). (2014).이유원 <海東樂府>의 『增補文獻備考』「樂考」의 고려가요 가화 수용과 그 시화. 어문연구, 79 , 117-140

MLA

김기영(Ki-young, Kim). "이유원 <海東樂府>의 『增補文獻備考』「樂考」의 고려가요 가화 수용과 그 시화." 어문연구, 79.(2014): 11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