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神機圖>의 敍事적 특징과 議論적 성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148

영문명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and research on the debating tendenc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한의숭(Han, Eui-soo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0輯, 443~470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전북 부안에 거주했던 高濟安(1845~1927)이 1916년에 창작한 한문현토소설인 <神機圖>를 소개하고 작품론을 시도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신기도>는 여타 소설들과는 달리 작품 말미에 跋文이 실려 있어 창작의식을 살펴볼 수 있고, 작가의 文集 또한 현전하고 있어 작품론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관련 자료가 풍부한 편이다. 이를 통해 작품을 분석해 보면 작가는 20세기 초라는 격변기를 향촌재지사족으로 살아가면서 당대 사회에 대한 의식의 일단을 작품으로 표출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인생사란 누구도 함부로 예측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인생사에 '一喜一悲'하면서 집착할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해 충실한 자세를 가지고 살아가야 함을 주제로 드러내고 있다. 이를 위해 '塞翁之馬' 고사를 주제표출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등장 인물간의 문답방식을 통해 '의론'을 강화하는 서술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신기도>에 드러난 '의론적 성향'은 夢遊錄이나 問答式 散文 등 전대 서사 전통의 양식을 일정부분 계승한 형태로 이해된다. 이는 작가의식을 명징하게 드러내기 위해 활용된 글쓰기 방식의 일환인 것이다. 한편 주제의식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의론' 양식을 활용했으나, 그것을 표기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당대에 유행하던 한문현토체방식을 적극 수용했다는 측면에서 <신기도>는 국지적 성향을 띈 예외적 작품으로 취급될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한문현토소설의 경우 『神斷公案』의 예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애국계몽기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양식으로 20세기 초를 대표하는 글쓰기 양식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신기도>와 같이 향촌재지사족에 의해 창작된 소설 또한 당대 유행하던 글쓰기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며, 이는 통속국문소설이 범람하던 시대에 한문소설이 존재하던 방식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것이다. 서술방식에 있어서 주제전달을 강화하기 위해 '의론'의 양식을 활용했으나, 그것을 표기하는 양식에 있어서는 한문현토체방식을 적극 수용했다는 측면에서 <신기도>는 20세기 초 '로컬리티 소설'의 존재방식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신기도>는 한문현토체소설이라는 양식을 공유하던 신문연재소설과 비교해보면 '의론적 성향'의 지향점에 있어서 층차가 발견된다. <신기도>는 향촌이라는 지리적 로컬리티의 관점이 우선하기 때문에 '계몽'이나 '교화'의 시각에 있어 국지적인 성향이 일정부분 존재한다. 이는 20세기 초한문현토소설이라는 문체와 '의론적 성향'이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신문연재소설에 비해 영향력이 제한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점은 18~20세기 초에 걸쳐 향촌재지사족에 의해 지역에서 창작된 <종옥전>, <오유란전>, <정생전>, <문요전>, <태극옹전> 등을 '로컬리티 소설'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위의 작품들은 작가층의 성향에 있어 '지식인 소설'로 명명할 수 있을만큼 특징적인데, 조선후기 소설사에서 한문장편소설의 작가층과 구분되는 특수한 지점으로 소설사의 새로운 지형도 마련을 위해 중요한 입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which is han-moonhyuntoe novel created by JaeAhn Gho(1845∼1927) who lived in Jeon-Book-Boo-Ahn and discuss this novel overall. The sense of creativity of can be inferred through the postscript. Hyang-chonjae- ji-sa-jeok going through transition era witnessed the society at then and showed that no one knows what would happened to anyone using the proverb (sae-ong-ji-ma) reflected on characters. This is intended to set an exemplary story for descendents to teach them that consistent and diligent attitudes toward life is important not being obsessed with trivial things in life and expecting instant and quick success. Descriptive method intensively describes the questioning and answering conversation between characters to emphasize on this point also this method outstandingly shows the reinforcement of debate. The 'debating tendency' of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which utilizes the descriptive tradition for the inspiration on novel since 17th centuries. Actively utilizing 'debate' as a method which clearly exposing the intention of author seems to have adopted the trend of writing style at then. The issue is about how well and much the writer's consciousness proactively interacted with the change of the society. Comparing and at-then trendy serial stories in newspaper, the goal of 'debating tendency' shows different levels between differentiated classes. In case of , it heavily gives its importance for fulfilling the side of edification because this novel is created in the view point of hyang-chon-jae-ji-sa-jeok who dedicated themselves to fostering descendents. Because of that, even though the reflected consciousness through novel shows the 'debating tendency' to stand out it does not express strong sense of identity enough. This seems to be caused by author's characteristics based on hyang-chon-jae-ji-sa-jeok. However, this is not a unique situation only for but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other novels that show similar situations like does. Therefore, it needs to rename those novels as intellectual novel and extended researches branched out from this topic are expected to follow up in the futu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神機圖>의 創作意識
3. <神機圖>의 敍事적 특징
4. <神機圖>의 議論적 성향과 20세기 초 소설사와의 관련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의숭(Han, Eui-soong). (2014).<神機圖>의 敍事적 특징과 議論적 성향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 40 , 443-470

MLA

한의숭(Han, Eui-soong). "<神機圖>의 敍事적 특징과 議論적 성향에 대한 연구." 대동한문학, 40.(2014): 443-4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