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들뢰즈와 미술교육, 연구 지형도와 수업 분석

이용수 1432

영문명
A Deleuzian Approach to Art Education: Cartographies, and Instructional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안인기(Ahn, Ink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3號, 75~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과 미술교육 분야에서 들뢰즈 연구의 추이를 살펴보고 그의 개념과 사유를 우리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미술교육적 합의들을 추출해보고자 하였다. 미술교육에서 들뢰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있다. 들뢰즈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과타리와 함께 생성, 노마드, 기관없는 신체, 도주선, 리좀 등의 독창적인 용어를 구사하며 변화하고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세상에 대해 사유해 왔다. 들뢰즈에 대한 연구 동향에서는 비판성을 강조하는 시각문화교육에 대해 그 한계를 지적하면서, 시각문화가 우리에게 미치는 신체 감각 작용, 정감에 대해 통찰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소비사회의 지속을 위한 창조산업에 저항하는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수업 분석의 사례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배움 개념과 예술 창조 개념을 고려하여 수업 해석과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 지도의 방법도 성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감각과 질료가 충돌하면서 지속적으로 다르게 펼쳐지는 수업 모형이 보다 생기 있고 창조적인 생산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Studies in art education for Deleuzian approach are still in the beginning. Deleuze and Guattari created the concepts of becoming. nomad. body without organs. line of flight. and rhizome and devised for change of the world constantly with those concepts for looking for the other potential possibilities of capitalism and live in the plateau. In this article. I'll explore the cartographies of Deleuzian studies pursued by education and art education researchers. And then I want to connect the Deleuzian concepts and thoughts with the situation of our art class in Korea for lighting up the virtual that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 art. I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Deleuzian educators criticised and pointed out the deflections with visual literacy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tudies. They suggested that we have to consider in detail the affect and functions of sensation on body that created by visual culture. They also insisted that the creativity that captured by the creation industries should be the resisting event in the art education class. In the instructional analysis. I tried to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wo class cases with the Deleuzian concepts of learning and the creation of art. In a art class. it is good to use the systemic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but it would be better for productive and creative learning in the situation of relationship with our students and the materials. sensations that conflict each oth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들뢰즈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Ⅲ. 수업 분석: 미술의 영토화와 탈영토화
Ⅳ. 주제화: 앎과 배움, 예술의 창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인기(Ahn, Inkee). (2013).들뢰즈와 미술교육, 연구 지형도와 수업 분석. 미술교육논총, 27 (3), 75-97

MLA

안인기(Ahn, Inkee). "들뢰즈와 미술교육, 연구 지형도와 수업 분석." 미술교육논총, 27.3(2013): 75-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