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적 수정에 대한 예비 과학부전공 초등교사와 예비 과학전공 중ㆍ고등교사의 인식

이용수 147

영문명
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minor in science)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major in science)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하정숙(Ha, Jung Sook) 박종호(Park, Jong H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3호, 329~3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4,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과학부전공)와 예비 중ㆍ고등교사(과학전공)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J지역에 있는 교육대학의 예비 초등교사(과학부전공) 65명과 종합대학에 있는 사범대학의 예비 중ㆍ고등교사(과학전공) 115명,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80부의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5부를 제외한 예비 초등교사 설문지 63부, 예비 중ㆍ고등교사 설문지 112부, 총 175부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 처리로써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에 대한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은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는 t 검정, 변인별(장애인 접촉여부, 통합교육 교수경험) 인식 차이는 이원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교수적 수정의 효과와 필요한 지원에 대한 예비 초등 및 중ㆍ고등교사의 전반적인 인식 차이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적 수정에 대한 전반적인 필요도 인식은 예비 초등 및 중ㆍ고등교사 모두 4점 척도에서 평균 2.5이상으로 높은 필요성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 간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영역별 필요도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수적 수정 전체의 필요도에 대한 두 집단 간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장애인 접촉여부와 통합교육 교수경험이 두 집단의 교수적 수정 필요도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적 수정의 효과는 예비 초등 및 중ㆍ고등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통합학급에서의 참여시간 증가를 뽑았으며, 학급당 인원수 감소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와의 협력을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minor in science)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major in science) concerning their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study was performed to 175 students, including 65 pers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12 persons of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 and B located at the J-region. As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 test,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bot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o have the need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highly.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otal-area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 about sub-area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experience of instruction inclusive education, contact with disabled students, whether or not. Third, both groups were became aware of the benefit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 the time involved in inclusive class, and both groups demanded a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정숙(Ha, Jung Sook),박종호(Park, Jong Ho). (2012).교수적 수정에 대한 예비 과학부전공 초등교사와 예비 과학전공 중ㆍ고등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7 (3), 329-351

MLA

하정숙(Ha, Jung Sook),박종호(Park, Jong Ho). "교수적 수정에 대한 예비 과학부전공 초등교사와 예비 과학전공 중ㆍ고등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7.3(2012): 329-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