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romoting Self-Determin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Practice and Barriers

이용수 209

영문명
초ㆍ중ㆍ고등 특수교사의 자기 결정에 관한 중요성 인식과 자기 결정 중재 그리고 이 중재의 제한점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조현정(Cho, Hyun-jeo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7권 제3호, 183~19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3,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 특수교사 대상으로 자기결정 활성화에 관한 (a) 자기결정 중요성 인식 (b) 자기결정 활성화에 교수시간 할당 (c)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성과 교수시간 배정의 상관관계를 학교급내별과 학교급별 간의 다른 점 (d) 자기결정 교수에 방해되는 요소를 장애영역별과 학교급별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쓰인 통계는: 1) descriptive statistics을 사용하여 참여한 교사의 demographic information과 방해요소를 분석 2) 이 방해요소를 Chi-Square를 사용하여 장애유형별과 학교급별로 심층 분석, 3)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자기결정의 7가지 기술들의 중요성인식과 교수시간 할당을 비교, 4)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자기결정 중요성인식과 교수시간의 배정의 관계를 학교급내 별로 분석하고 correlation coefficients를 fisher’sz Score를 이용하여 학교급별 간의 다른 점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체적으로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사가 자기결정 중요성인식과 교수시간 배정에 꽤 높은 평균(m=4.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선택하기 기술이 초등특수교사가 중, 고등학교 교사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 하였고 초등 과 고등 특수교사는 목표설정 기술이 중학교 특수교사들 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시간 배정은, 고등특수교사가 중등특수 교사에 비해 자기옹호 기술 교수에 더 많은 시간을 할당한다고 하였고, 초등특수교사는 자기조절 교수시간 배정을 중, 고등 특수교사보다 더욱 많은 시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 중요성 인식과 교수시간 배정 상관관계에서는 학교별로 아주 작은 범위의 차이를 보였다: 학교급내의 범위의 정도를 상관관계를 통해서 보았을 때: 초등특수교사들은 선택하기 와 자기이해 가장 약한 관계(r=.22)에서 문제해결(r=.468); 중등특수교사는 자기결정기술(r=.358) 가장 약한 상관관계에서 문제해결(r=.568); 고등특수교사는 문제해결(r=.217)의 가장 약한 관계에서 자기이해(r=.460) 범위의 정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기결정 활성화에 방해되는 요소는 의사소통이 어려움 다른 시급한 분야의 교수의 필요 미비한 교수시간 배정 미흡한 자기결정 교수자료 학생들이 너무 어림 등의 순서로 지적되었다. 학교 급별로 분석하였을 때 두 가지 방해요소가 초, 중, 고등학교 별로 주목 할 만큼 차이를 보였다. 중, 고등 특수교사들이 대체적으로 비슷한 방해요소(i.e.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방해요소로 인식하는 반면에 초등 특수교사들은 초등학생이 자기결정을 배운 다는 것이 너무 어림과 미흡한 자기결정 교수자료를 지적하였다. 장애영역별로 방해요소를 분석하였을 때 전 장애 영역에 거쳐 대부분의 특수교사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지적한 반면에 시각장애 학생 특수교사들은 다른 시급한 분야의 교수 필요를 방해요소로 지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와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들이 연계되어 논의되고 향후의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공된다.

영문 초록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ors(N: 457) were surveyed to determine (a)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self-determination components, (b) barriers to promoting self-determination they experienced and (c) the frequency of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for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on the importance of most components, but choice-making instruction was more important to elementary than to middle and high schoolteachers, and goal-setting instruction was more important to elementary than to middle school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taught self-advocacy and elementary teachers taught self-management more often than middle school teachers. Barriers cited were consistent across grade band, but varied depending on disability categor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목차

〈Abstract〉
Ⅰ. Significance of the study
Ⅱ. Research Questions
Ⅲ. Method Participants
Ⅳ. Procedure
Ⅴ. Measurement
Ⅵ. Data Analysis
Ⅶ. Results
Ⅷ. Discussion
Ⅸ. Implication for Practice
참고문헌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정(Cho, Hyun-jeong). (2012).Promoting Self-Determin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Practice and Barriers. 특수교육학연구, 47 (3), 183-199

MLA

조현정(Cho, Hyun-jeong). "Promoting Self-Determin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Practice and Barriers." 특수교육학연구, 47.3(2012): 18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