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원(顔元)을 통해 본 ‘복고(復古)’와 ‘창신(創新)’의 사유

이용수 98

영문명
Fugu and Changshin’s Speculation seen through the Yan Yua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모영환(Mo, Young-hwa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복고’와‘창신’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 두 개념은 중국의 역사에서 고대로부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반복되어 나타났다. 곧 중국사에서 정치와 제도면에서의‘창신’이란 그 내용면에서 늘‘복고’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또한‘복고’를 통해 회복해야 할 대상은 언제나 삼대와 공자의 제도였다. 공자가 이상으로 삼았던 것 역시 삼대, 특히 주(周) 나라의 예제(禮制)였으니,‘복고’의 실질적인 목표는 바로 공자가 살았던 시기 주나라의 문물과 제도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에서의‘창신’내지‘개혁’은 결국 고대의 이상적인 시기를 목표로 한 것이어서, 근대 이전의 중국은 시야를 늘 미래가 아닌 과거에 고정시켜 스스로 발전하기 어려웠다는 근대 서구 열강의 주장이 옳았음을 입증하는 것인가?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으며, 중국 역사에서의‘창신’이‘복고’의 가치를 온전히 구현하지 못한 것이었음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공자와 안원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분석에 적합한 사상가들이다. 두 사상가는 흔히 교육자로 정의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복고’의 기점에 위치한 공자와‘창신’의 종착점에 가까운 안원을 비교함으로써, 중국의 역사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복고를 통한 창신’의 실상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본문에서는 먼저‘복고’의 지향점인 공자의 교육관과 교육제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에 대한 안원의 교육방침을 비교ㆍ고찰함으로써, 결국 대립적일 수밖에 없는‘복고’와‘창신’의 간격을 하나하나 확인해 보았다. 이상의 논증은, 그렇다면‘복고’가 과연 가치있는 것이고, 만약 진정성을 띤‘복고’가 실현된다면 이상적인 사회의 건설이 가능한가라는 문제와는 별개이다.

영문 초록

‘Restoration’ and ’creation’ are two different contradicting concepts. However, these two concepts have been argued about interchangeably from ancient times in Chinese history. Also, the subjects to be recovered through restoration were always three generations and Confucian institution. The actual goal of ‘restoration’ was in practice the culture and institutions of the very Chou dynasty where Confucius lived. If so, since ‘creation’ or ‘reformation’ in China is sought for ideal period of antiquity after all, is the argument of the Western powers proven right that the China before modernity could not develop by themselves because they fix their vision to the past instead of the future? This article was initiated from such consciousness of problem and has the purpose to clarify that in Chinese history, ‘creation’ could not fully implement the value of restoration. Confucius and Yan Yuan were appropriate ideologists for analysis to that end. The two are common in that they are defined as educators oftentimes. Also, a comparison of Confucius who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restoration’ and Yan Yuan who is near the terminal point of ‘creation’ will vividly illustrate the reality of ‘creation through restoration’ which is repeated periodically in Chinese history. First, the education perspectives and education systems of Confucius the goal of ‘restoration’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Next, through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education policies of Yan Yuan for it, the gaps of ‘restoration’ and ‘creation’ that have no other way but contradiction were identified one by one. The above discussions are apart from the questions if on that condition ‘restoration’ is indeed something valuable, and if ideal society can be built once ‘restoration’ is realized.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는 글
2. 교육의 원칙
3. 교육의 목표
4. 교육의 방식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모영환(Mo, Young-hwan). (2012).안원(顔元)을 통해 본 ‘복고(復古)’와 ‘창신(創新)’의 사유. 인문사회과학연구, 13 (2), 1-20

MLA

모영환(Mo, Young-hwan). "안원(顔元)을 통해 본 ‘복고(復古)’와 ‘창신(創新)’의 사유." 인문사회과학연구, 13.2(2012):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