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체시의 독자 반응론적 연구

이용수 670

영문명
A study of deconstruction poems on the view of the reader-response theory - Focused on the Hwang Ji-Woo’s poem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연승(Yun-seung, Le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1輯, 369~3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황지우의 현실비판적 해체시를 이저(Iser)의 독서이론을 통해 구체화해보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이를 바탕으로 해체시가 독자에게 어떻게 읽혀질 수 있는가를 수용 미학의 입장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저에 의하면 작품이란 독자 의식 속에서 텍스트가 재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문학은 표현되지 않은 우리 자신을 표현해보도록 새로운 기회를 주는 것이라 한다. 이런 의미에서 황지우의 80년대 해체시들은 텍스트의 개방성을 통해 독자에게 새로운 인식과 성찰의 기회를 주고 독서의 의의를 부여하는 미학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해체시의 언술 구조의 다양성에 주목하여 황지우의 시가 가지는 형식적 특성과 독서과정을 분석해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첫째, 중첩 서술에 의한 장면의 분산과 소음의 언어. 황지우의 일련의 해체시들은 단일한 이미지나 언술을 향해 시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무관한 여러 사건과 이미지들로 인해 그 의미가 파악되고 구체화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의미 파악에 대한 까다로운 독서 경험은 역설적으로 독자에게 그의 시를 재독하도록 요구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빈 틈’과 형태 파괴의 전략. 황지우의 해체시에서 빈 틈은 대단히 넓게 열려 있으며 이 빈 틈은 독자가 의미를 만드는 단서를 제공하여 능동적인 독서과정으로 나아가게 된다. 다시 말해 사회 역사적 문맥을 재구성한 일련의 시들을 통해 독자는 작품의 중층적 의미를 파악하고 시와 현실, 시와 역사의 문제에 대해 통찰과 인식의 전환을 마련할 계기를 갖는 것이다. 셋째, 반시(反詩)의 기법과 지평전환의 가능성. 벽보나 신문기사, 만화 등 현실 자체를 보여주는(showing) 시들을 통해 독자는 현실의 파행적인 모습을 인식하고 이를 내면화함으로써 시인의 독창적인 상상력을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창의적인 해석을 요구하는 황지우의 텍스트를 접함으로써 수용자는 독자 개입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의미를 생산하는 창조적 주체로서의 시읽기의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W.Iser, the text by author is turned into a piece of work only by the reader’s ability of appreciation and response, I suppose tha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aesthetics of reception theory, our post-modern poems will be better explained. Text itself has the structure inducing the readers and pushes the readers get the empty space. In attemp to explain the goal, I intend through concrete reading, to shed light on how Hwang Ji Woo’s poetry contains elements destructing and leaving the existing horizon of expectation. Hwang Ji Woo’s deconstruction poems showing a tendency of criticizing world with unfamiliar types and materials. So the structure of poem readers get frustrated. By this frustration, the structure of the poem is focused on the dual description in the poetic narration. The images in the poem by the dual description exist interruping its meaning of limited time and space. By this images and narrations, the meaning of text remain important without any relation to the continuous meaning. Readers make a continuous effort of grasping the meaning through critical reading. After all, paradoxically, the poem devoid of sense and meaning by Hwang Ji Woo, can be very powerful to the readers. Through this, the pleasure of creating the meaning, and the possibility of creation is a great joyful reading his poems. So I was able to discover how to read Hwang Ji Woo’s poems by giving a new way of reading.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 수용이론의 관점에서 해체시 읽기
2. 중첩 서술에 의한 장면의 분산과 소음의 언어
3. ‘빈 틈’과 형태 파괴의 전략
4. ‘반시’(反詩)의 기법과 지평전환의 가능성
5. 결론
○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승(Yun-seung, Lee). (2012).해체시의 독자 반응론적 연구. 어문연구, 71 , 369-392

MLA

이연승(Yun-seung, Lee). "해체시의 독자 반응론적 연구." 어문연구, 71.(2012): 369-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