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唐 五臺山 설화의 新羅的 수용과 변이

이용수 257

영문명
The Origination and Development of Shilla Dynasty’s Odaesan Tale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승호(Seung-ho,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1輯, 125~1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가 곧 佛國土라는 인식이 자리 잡기까지는 설화의 힘이 크게 작용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신라의 산마다 佛菩薩이 주관하는 곳임을 증거해주는 설화 가운데서도 오대산화 설화는 여러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어떤 설화보다 각 편이 풍성하게 전하고 있어 靈山설화의 발생, 전파의 궤적을 살피는 데는 긴요한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신라 五臺山 설화는 중국 淸凉山 설화와 여러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이는 유학승을 비롯한 신라인의 중국진출과 함께 외래 설화가 유입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의 청량산(오대산)설화에는 한결같이 문수친견을 발원하는 주인공이 등장하여 오대산 각처를 섭렵하게 되는데 수월하게 문수친견에 이르는 경우는 없다. 즉 문수를 만났으나 我相에 사로잡힌 나머지 상대가 누구인줄 모르다가 뒤늦게 조력자를 만나 자신의 우매함을 절감하는 식의 내용을 동반하는 바, 이는 唐 청량산설화와 신라 오대산설화에서 발견되는 내용적 공통점으로 신라설화의 발원지점이 唐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신라 내에 오대산 설화가 전승되면서 나름의 특성을 구비한 설화로 탈바꿈하게 되었다는 점도 아울러 살폈다. 무엇보다 여러 인물의 영험담을 소개하고 있는 중국과 달리 신라에서는 慈藏의 체험중심으로 설화를 전개시키되 그의 영험성을 통해 오대산을 성소화시키려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그 외 불보살이 상주했던 전대 불지처였음을 매우 강조할 뿐만 아니라 護國佛敎 사상의 맹아지로 오대산이 지닌 의미를 복합적으로 끌어낸다는 점도 신라 오대산 설화의 특성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t is convincing to say that the power of traditional folk tale worked significantly to the extent that there was an established awareness about Shilla as a Buddhist country in Korean history. Among all traditional folk tales to evidence that every mountain of Shilla is a place under the influence of Buddha-Bedhisattva, “the Odaesan Tale” becomes a focus of attentions in many aspects, because it delivers more abundant content in each piece than any other folk tale, so that it becomes a critical reference to find out the origination and propagation path of Vulture Peak Tale (靈山說話). Shilla’s Odaesan Tale is similar to China’s Qingliangshan (淸凉山) Tale in many aspects. This similarity is a phenomenon as foreign folk tales were introduced to Shilla in parallel with the entry of Shilla’s people (including monks) into China. China’s Qingliangshan (Odaesan) Tale is consistently characterized by appearance of a hero who make a vow to meet Manjusuri (文殊菩薩; Bodhisattva of Wisdom). Here, the hero scoured for Manjusuri across every site around Mt. Odaesan, but it was not easy for him to meet Manjusuri. At the vety least, he really met with Manjusuri, but was so obsessed with egoism (我相) that he could not be aware of Manjusuri at first glance. Later, he met an assistant and ended up with keenly feeling his ignorance. Moreover, Mountain Odaesan Tale is similar to China’s Qingliangshan Tale in narrative form. It is concluded that the origination of Odaesan Tale was so much influenced by China’s Qingliangshan Tale, but it is not justifiable to overlook that the former contains elements of Shilla. Contrary to China’s Qingliangshan Tale that introduces many characters’ stories about spiritual efficacy, Shilla’s Odaesan Tale is characterized by narrative development primarily based on Jajang (慈藏) as the center of spiritual efficacy, and the latter emphasizes that Odaesan was a historic place connected with Buddha Bodhisattva in past.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latter re-amplifies the implications of Odaesan as an ideological epicenter of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唐 오대산 설화의 형성
3. 新羅 五臺山 설화의 성립과 특성
4. 맺음말
○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호(Seung-ho, Kim). (2012).唐 五臺山 설화의 新羅的 수용과 변이. 어문연구, 71 , 125-148

MLA

김승호(Seung-ho, Kim). "唐 五臺山 설화의 新羅的 수용과 변이." 어문연구, 71.(2012): 125-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