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원동지역 초기 한인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

이용수 498

영문명
The Formation of the Early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Policies of the Russian Authoriti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반병률(Ban, Byung-yool)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0집, 281~340쪽, 전체 6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1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1860년대초부터 한러국교수립 이전인 1880년대초까지의 시기에 이루어진 한인들의 러시아이주와 초기 한인마을들(이후 원호인 마을이 되는)의 형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러시아당국의 정책을 다루었다. 한인이주사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러시아당국의 우호적인 정책 등의 유인적 요인(input)과 조선봉건지배층의 가혹한 정치적 억압과 삼정의 문란으로 인한 농촌파탄과 육진지방에 몰아닥친 흉년 등의 방출적 요인(output)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객관적인 이주환경이 강조된 반면, 이주한인들이 자신들의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고자 적극적으로 대응한 주체적 측면이 소홀히 취급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들 월경한 인들이 취했던 적극적인 대응과 활동에 주목하면서 특히 러시아당국의 정책을 유리하게 활용하였던 점들에 관심을 기울였다. 대체로 선행연구에서는 사건의 핵심주체인 이주한인들이 수동적 위치에서 언급되어졌다. 그러나 한인이주사에서 월경이주민들이 러시아정부와 조선정부의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만, 그 과정에서 한인이주민들이 전적으로 피동적 존재로 머물렀던 것은 아니었다. 러시아와 조선정부의 정책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못하였지만, 이들 한인이주민들이 한인이주사의 주인공이라는 점이 새삼 강조될 필요가 있다. 초기 한인마을들의 형성은 이주한인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이주한인문제들의 처리방안을 고민하던 러시아당국의 정책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결과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이주와 정착과정에서 러시아측과 한국측 자료를 활용하여 이들 월경이주한인들이 관여했던 사건들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소개하였다. 이주과정이나 정착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사건들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들에서는 단편적 또는 분절적으로 다루어진 나머지 이들 사건들과 전후맥락에 크게 주목하지 못했다. 한인들의 이주초기에는 러시아당국이 급작스럽게 몰려온 한인이주민들에 대한 확고한 정책을 수립하지 않았던 관계로 현지 책임자들이 러시아중앙정부의 정책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현지사정에 맞게 융통성 있게 정책을 결정한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한인이주민들의 주체적 요인과 러시아당국의 정책이 잘 맞아 떨어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초기 한인이주사에서는 러시아당국자들이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정책을 취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1880년대이후 유럽러시아지역으로 부터 러시아인들의 이주가 늘어나게 되고 청국정부의 만주지역 특히 국경지방에 관한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러한 우호적인 정책기조에 변화가 나타나 러시 아당국자들이 엄격한 정책을 취하게 되면서 한인이주민들의 역할이 개입될 여지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1860년대에 조선으로부터 두만강을 건너 무단월경한 한인이주민들에게 러시아당국은 매우 우호적이었다. 이는 새로이 획득한 영토의 조속하고도 절실한 식민화 필요성과 그에 따른 도로 항만 등 기간시설 건설에 필요한 노동력, 주둔 카 잨부대에 대한 식량과 채소의 공급이 절실한 때문이었다. 러시아당국의 지원과 승인을 받아 이루어진 한인마을의 형성은 주로 국경지대에 위치했던 러시아카작 크부대 또는 국경초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외국인인 이주한인들을 이렇게 평가한 데는 교통의 불편, 정착시설의 절대적 부족, 중앙으로부터 지리적으로 너무 떨어진 점, 좋지 못한 기후 등의 이유로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으로의 이주를 기피하여 러시아의 적극적인 이주장려정책이 효과를 보지 못했던 탓도 있었다. 특히 남부 우수리의 국경지대는 러시아인들이 이주를 꺼려한 지역이었다. 이주한인들은 연해주 러시아당국의 우호적인 정책을 적극 활용하였다. 초기 월경이주과정에서 발생하였던 몇가지 사건들을 통하여 월경이주한인들의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초의 집단이주인 지신허(地新墟)로의 이주는 독신이주자들과 러시아수비대장간의 합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러시아측이 조선경흥부간의 교섭과정에서 이주한인들이 통역 등 중간매개자 역할을 하였다. 이후 대규모 월경이주사건들은 러시아 영토에 먼저 이주정착한 한인들이 치밀하게 준비한 월경이주 계획을 대담하게 추진하는 과정에 발생한 것이다. 월경이 주민들은 러시아수비대의 무력을 활용하여 경흥부의 조선관리들을 협박하여 월 경죄 등으로 감금되어 있는 ‘친척’들의 구명운동을 시도하는 등 조선정부의 봉금정책을 무력화시키고자 하였다. 이어 이들은 스스로 무장력을 갖춘 이후에는 더욱 대담하게 국내로 들어와 월경이주를 희망하는 주민들을 엄호하여 월경을 시도 하였고 이 과정에서 관군과 충돌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early Korean emigration to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policies of Russian and Korean authorities from the 1860s to 1880s. Previous studies have stressed the conditions of immigration without paying enough attention to the active efforts of Korean immigran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Korean and Russian officials. To some extent, Korean immigrants were able to change the policies of the Russian and Korean authorities. A couple of incidents, which were initiated by early Korean immigrants, are introduced and reinterpreted. In the 1860s and 1870s, the central government of Tsarist Russia did not established specific and firm immigration policies towards Korean immigrants. Local Russian officials had the flexibility to occasionally make decisions about Korean immigrants in their own way without disregarding the basic guidelin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ly, the demands of the Korean immigrants were accepted by local Russian officials. Initially, local Russian authorities took a favorable attitude toward Korean immigrants. However, as the number of Russian farmers migrating from European Russia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creased in the 1880s, and the Qing Chinese government came to have more interests in encouraging the migration policy to Manchuria, the central Russian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strict and firm policies toward Korean immigration. In this paper, it is emphasized that the formation of the early Korean villages was the product of a combination of the active efforts of Korean immigrants and local Russian authorities. To obtain greater stability of border areas and faster colonization of newly-obtained territory, secure labor forces and consistent acquirement of food for garrison Cossacks were considered as essential by the Russian government. The Russian authorities supported the formation of Korean villages, which clearly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of Russian Cossack garrisons and border guard posts. Russian authorities welcomed the early Korean emigrants, due to the fact that Russians themselves were very hesitant to migrate to the geographically distant Far East, which had many transportation inconvenience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settlement, and a harsh climate. In particular, Russians did not like to move to the border area of the southern part of the maritime Province. Early Korean immigrants took advantage of early Russian immigration policies that were initially favorable. A couple of incidents involving Korean immigrants show the active roles they played. The first immigration of Koreans to the Tizinkhe River Basin was a combined effort of early Korean immigrants and the chief of the Russian border garrison in Novokievsk. The early Korean immigrants helped as interpreters for the Russian officials, who negotiated with the magistrate of Kyeongheung garrison city. Early Korean immigrants conflicted with Korean authorities and border guards when trying to bring additional Koreans from their home villages in Korea to Russia. In this process, Korean immigrants challenged the Korean government's strict policy on prohibiting border-crossing by bringing Russians Cossack soldiers to intimidate local Korean officials in Kyeongheung garrison city(慶興). With the backing of Russian Cossack soldiers, they would demand the release of their relatives who had been imprisoned for attempting to cross the border. Early Korean immigrants even crossed the border into Korean territory to aid Koreans who wanted to move to Russia, but were confined by Korean border guards. The Baegan village conflict occurred between Korean villagers and border guards in 1867. The Hasamdong conflict occurred shortly after. Furthermore, there was massive immigration initiated and planned by Korean immigrants shortly after the drift of a Russian ship in Ungi Bay.

목차

Ⅰ. 머리말
Ⅱ. 1860년대 전반의 이주와 한인마을 개척
Ⅲ. 기사흉년(己巳凶年) · 경오도강(庚午渡江)이후의 이주와 한인마을 개척
Ⅳ. 접경지대의 한인마을들의 형성(1870년대 후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병률(Ban, Byung-yool). (2011).러시아원동지역 초기 한인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 역사문화연구, 40 , 281-340

MLA

반병률(Ban, Byung-yool). "러시아원동지역 초기 한인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 역사문화연구, 40.(2011): 281-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