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통과 매체로 보는 사학사

이용수 828

영문명
Historiography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Medi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기봉(Kim, Gi-bo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0집, 369~40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는 기본적으로 소통으로 성립한다. 소통을 위해서는 매체가 필요하다. “매체가 메시지다”라는 맥루한 말대로,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의 소통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매체다. Historiai를 쓴 헤로도토스가 역사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듯이, 역사는 문자역사로 출발했다. 하지만 구텐베르크 시대의 종말과 전기매체시대(electric age)의 등장으로 문자역사로서 역사학은 위기에 처해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으로 본 논문은 종래 문자역사의 관점으로만 본 사학사의 프레임에서 탈피하여 매체사적인 맥락에서 사학사를 반성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인류 역사에서는 각 시대마다 지배적 매체가 있었다. 인류 문명사는 인간이 지식을 생산하고 전달하여 활용하는 매체 진화의 역사로 전개됐다. 맥루한은 매체의 발달이 촉발하는 소통관계의 변화에 따라 인류 역사를 원시부족시대→문자시 대→인쇄술시대→전기매체시대의 4 단계로 나누었다. 이 같은 매체사적인 시대구분에 따라 사학사도 구술사→문자역사→인쇄역사→영상역사로 시대구분 할 수 있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로서 역사란 엄밀히 말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꿈의 대화다. 직접 대면하여 오감으로 소통하는 구술사가 ‘신화적’ 역사를 말로 전승했다면, 문자역사는 신화에서 탈피하여 합리적으로 소통 가능한 과거만을 탐구하여 역사로 서술했다. 구텐베르크 시대에서의 인쇄역사는 책의 소통력이 형성한 소통관계를 토대로 역사를 과학화했다. 그 결과 꿈의 대화의 길로 접어들게 하는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소설과 같은 문학의 영역으로 추방되고, 현실의 역사만이 연 구 성과로 인정받는 역사학 체계가 정립됐다. 하지만 전기 매체시대에서 문자역사는 쇠퇴하고 영상역사가 등장함에 따라 ‘꿈꾸는 역사’로서 사극은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오늘날 역사학은 기로에 서 있다. 역사학이 죽느냐 사느냐는 결국 ‘매체적 전환’이라는 시대적 조건에 맞춰 문자역사로서의 역사학 정체성을 변화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오늘의 역사가들이 영상역사를 더 이상 거부하지 않고 ‘현실 역사’의 결핍을 보상하는 ‘꿈꾸는 역사’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일 때, 역사학은 보호학문이나 잉여학문으로 전락하지 않는 학문적인 진화를 할 수 있다. 결국 역사학이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

영문 초록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history is basicall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eds media. Media are decisive to historical communication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just like Marshall McLuhan said that "media are message." Since Herodotos, the author of Historia and the father of history, history began as literal history. With the end of Gutenberg's era and the emergence of electric age, history as literal history faces a crisis. Taking this as a departure point, this paper steps out of a framework focused upo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of literal history and reflects on historiography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media. In human history, every age has its own dominant media.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has been a evolutionary history of media, with human beings producing, delivering and using knowledge. Following the change in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in line with media's development, McLuhan classified human history into archaic tribal age, literal age, printing age and electric age. Following the same media-historical periodization, history of historiography can also be divided into narrative history, literal history, printing history, visual history. History as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s, strictly speaking, unrealistic dialogue of dream. Whereas oral history based upon face-to-face communication using senses had delivered 'mythical' history through verbal words, literal history delivered written history based on research of the rationally communicable past, not the myth. Printing history in the age of Gutenberg converted history into science based upon literary-communicational relationship. In result, historical imagination enabling dialogue of dream was banished to the field of literature like historical novel, and only history of reality was acknowledged to be the object of serious historical scholarship. However, in electric age, literal history steps down and historical drama as dreaming history flourishes with the rise of visual history. At present, history stands at the crossroads. History's survival hinges on wether history could change its identity as literal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epochal condition of 'turn of media.' History can evolve in academic sense, without degrading to a discipline which needs protection or is redundant, only when historians are ready not to reject visual history, but to accommodate it as 'dreaming history' compensating the deficiency of 'history of reality.' After all, history "should change, in order not to change."

목차

Ⅰ. 소통으로서 역사
Ⅱ. 소통관계의 변화로 보는 사학사
Ⅲ. 소통관계의 탈주술화와 근대 역사학의 성립
Ⅳ. 매체사의 관점으로 보는 사학사
Ⅴ.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봉(Kim, Gi-bong). (2011).소통과 매체로 보는 사학사. 역사문화연구, 40 , 369-402

MLA

김기봉(Kim, Gi-bong). "소통과 매체로 보는 사학사." 역사문화연구, 40.(2011): 369-4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