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바일 서비스 시대의 향토 문화 자료 서비스 방안

이용수 258

영문명
A study on mobile service ways of local culture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한동현(Han, Dong-hyu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0집, 449~48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향토 문화란 한 지방의 자연환경 속에서 과거에서 현재까지 전승되어 온 역사와 전통, 유물 및 유적, 예술, 풍물과 생활 방식 등과 같은 모든 유산을 의미한다. 다양한 향토 문화 자료들의 발굴과 활용은 우리의 정신문화를 더욱 풍요롭게 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많은 향토 문화들이 널리 알려지고 오늘날에 맞도록 재해석 및 변형되어 후세에 전승될 필요가 있다. 향토 문화 자료는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시대적 산물이다. 이러한 향토 문화 자료를 후세에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원형 그대로를 전달하는 방법과 현시대에 맞게 해석하고 변형하여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두 가지 전달 방법이 모 두 중요하고 가능하지만, 무엇보다 대중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료에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고 그 내용이 쉽게 풀이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향토 문화 자료들이 발굴되어 보존 및 재생산 되고 있지만, 그 자료들은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원인들 중 가장 큰 이유는 자료에의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디지털화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정보 검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널리 홍보되거나 대중들의 이해를 돕는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 자료들이 많다. 향토 문화 자료들에는 인물, 역사, 풍습, 전설, 신화, 음악, 노래, 춤 등 대중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향토 문화 자료들을 접근성이 높은 향토 문화 자원으로 변형하고, 이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다면 수많은 문화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대중들의 문화 소비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향토 문화 자료들의 전달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전달 방식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은 향토 문화 자료들을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로 보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 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향토 문화의 보급을 위하여 향토 문화 자료들을 콘텐츠로 개발시킬 수 있는 자원으로 변환시켜 이 자원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 향토 문화 자료들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현재 향토 문화 자료를 생산하고 있는 지방문화원의 경우 전문성을 가진 인력과 재원이 부족하며, 자료의 디지털화도 대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 다. 향토 문화 자료에 담겨 있는 정보들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향토 문화 정보는 공공 자원으로 환원되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야 한다. 향토 문화 자료들을 공공 차원에서 관리하고 활용해야 하는 이유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향토 문화 자료는 공공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료를 콘텐츠화 하기 위한 자원의 형태로 전환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향토 문화 자료들이 양적으로 너무나 방대하기 때문에 개인이나 사기업에서 담당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향토 문화 자원들은 효과적인 검색과 활용을 위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전국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망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하는 일은 공공 기관이 담당해야 일반 사용자인 대중들이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공공 정보를 대중들에게 알리고 소통을 하기 위하여 중앙 정부부터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몇몇 공공 기관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향토 문화 자원들도 이와 같이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되어야 전통 문화가 상업적인 문화의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향토 문화가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향토 문화 자원들이 모바일 애플 리케이션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향토 문화 자원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증강현실 서비스와 QR코드 등이 있다. 당장 이러한 서비스들을 수행하기에는 인력면이나 재정면에서 어려움이 있을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화원들이 자원봉사자들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토 문화 자료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 는 인력을 활용한다면 조금씩이나마 발전의 토대들이 마련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한다면 전통 문화는 점점 대중의 관심 영역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공공 자원으로서의 향토 문화 자료를 자원으 로 가공해 다양한 콘텐츠의 기획 및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할 준비를 해야겠다.

영문 초록

It is essential to enriching our moral culture and creating new cultures that we find and use various local culture mate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et as many local culture materials well-known, to reinterpret and apply them according to current trends, and to pass them down to the next generation. Local culture materials are distinctive by-products of the times that every and each local area has kept in its long history. So, it is important to get easy access to local culture materials and to provide easy reinterpretation of their content in order to transmit them to the next generation. Today, lots of local culture materials have been discovered for conservation and reproduction, but they have not been us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which results mainly from low accessibility to those materials. Even though they have been digitalized, they have not been made well-known to the public because it is still quite hard to find them by search engines on the Internet, and they also have not given readable explanation to help for easy understanding. So, if we render those materials to resources for various application, we can plan and develop more culture content with them. Now, local culture centers are shor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finances, and most materials they have kept have not been produced in digital ways. Considering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ocal culture materials, they should be extensively open to the public. Foreign governments are trying their multilateral efforts to get public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Korea, some public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begin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by mobile services. Local culture resources should be supplied to the public according to changing times so that traditional cultures would not be eroded one-sidedly by commercial culture products and could keep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nd be applied through new creative reinterpretation. To supply local cultures widely, a variety of local culture resources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into mobile applications, for examples AR services and QR Code services. Of course,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get over to supply those services right now. However, if we fail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patterns and speed the public use and consume culture content, traditional cultures would escape from public attention. From now on, we should start to render local culture materials to resources, and plan and develop them to content so that we are able to get ready for wide and various services of content for the public.

목차

Ⅰ. 머리말
Ⅱ. 향토 문화 자원 개발의 중요성
Ⅲ. 공공 자원의 서비스 현황
Ⅳ. 향토 문화 자원을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동현(Han, Dong-hyun). (2011).모바일 서비스 시대의 향토 문화 자료 서비스 방안. 역사문화연구, 40 , 449-484

MLA

한동현(Han, Dong-hyun). "모바일 서비스 시대의 향토 문화 자료 서비스 방안." 역사문화연구, 40.(2011): 449-4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