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이용수 821

영문명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otong Discourse from the Song to the Mid Qing Period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민병희(Min, Byoung-hee)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40집, 155~208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당 중기 이후 도통론은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출현하였다. 북송시기 다양한 계보를 산출하며 전개되었던 도통론은 주희의 도학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며 단순히 유가의 도의 전수의 계보를 넘어, 사회·정치 질서의 기반이 되는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의 기본적 틀을 제공하게 된다. 주희의 도통론의 정치적 의미는 무관의 왕으로서 공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상징성을 극대화하고, 공자가 구현하였다고 보는 “문헌적 왕권”을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하면서 사대부들의 권력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도통과 치통의 관계의 문제는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聖人과 帝王의 관계의 문제이며, 이는 곧 사대부의 권력과 군주의 권력의 문제에 대한 논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道統論’의 틀 속에서 군주권의 정당성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어왔는가를, 명대와 청대의 대표적인 전제 군주로 여겨지는 황제들을 중심으로, 담론과 보다 구체적인 禮制와 문헌 편찬 등으로 표출된 군주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군주측의 대응과 이러한 대응의 배경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사대부 사회에서의 권력의 정당성의 문제는 사대부가 중심이 된 논의구조인 도통론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사대부는 이념적으로는 군주권을 압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인다. 이 논문은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는 이전 시기와 매우 다른 구도 속에서 논의되고 있었으며, 이는 사대부 사회라는 새로운 엘리트층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의 성격은, 기존의 설명과 같이 군주권에 복속된 관료층으로서의 엘리트층의 등장이 분권적 요소를 제거하여 전제적 군주권이 강화되어간다는 변화 과정으로 이해하기는 힘들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송대 이후의 강력한 군주권의 성격은 동양적 전제주의나 유럽 절대왕정의 구도로는 이해되기 힘들며, 세습적 귀족이 아니지만 사회적으로 특권을 지닌 사대부 집단과 그 사대부 집단이 만들어낸 사대부 사회의 권력 구조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Daotong discourse has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to the discourse on the sociopolitical order since the mid Tang period. Zhu Xi firmly established the lineage of Daotong and its sociopolitical meaning in Confucian tradition. Since Zhu Xi up to the decline of Daoxue in the Mid Qing period., Daotong discourse has provided the frameworks for the discourse on the legitimacy of pow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has been problemitiz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ultimately ask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power of ruler.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Confucius, the uncrowned king, was highlighted in the Daotong discourse in Zhu Xi's learning. Also Zhu Xi's learning textualized Daotong in the form of his new classical tradition, the Four Books, It also transformed the way in which "textual kingship" could be embodied. This paper analyzes ritual controversies concerning Confucian temple and attempts to manipulate "textual kingship"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emperor and the literati. Unlik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e emperors in the Ming and Qing periods did not have a solid ideological ground for their sovereign power. The framework of political discourses based on Daotong was designed to support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emperors were mostly defensive in the ideological discourses.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theories of "Oriental Despotism" or by the model of the "absolute state" in Europe. Without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literati society, i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sovereign power in late imperial china.

목차

Ⅰ. 서론
Ⅱ. 道統論의 성립과 그 정치적 의미
Ⅲ. 明代 孔廟祀典을 둘러싼 聖人과 帝王의 위상 논쟁
Ⅳ. 淸代 皇帝의 道統과 治統의 합일 시도
Ⅴ. 결어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병희(Min, Byoung-hee). (2011).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역사문화연구, 40 , 155-208

MLA

민병희(Min, Byoung-hee).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역사문화연구, 40.(2011): 155-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