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이용수 392
- 영문명
- The Aspects of Tragicomedy and its Aesthetical meaning in Saseolsijo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상영(Park, Sang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7輯, 59~9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spects of tragicomedy in Saseolsijo and its aesthetical meaning. Tragicomedy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worldview, perspective to read text itself as well as forming double vision, which let readers experience a smile and sadness at the same time.
Tragicomedy in Saselsijo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late Choseon Dynasty in terms of ‘character’, ‘language’, ‘structure’.
First, features of tragicomedy by ‘character’ is discovered two different ways, forming empathy with the reader(assimilation) and distance with the one(dissimilation), through the difference of attitude the poetic narrator travesties oneself or object. Meanwhile, tragicomedy by ‘languag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olidarity or dismantling of text itself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etaphor and metonymy. Unlike these, tragicomedy in terms of ‘structure’ is created in the repetitive process of dramatic tension by two opposed voices or relaxation by two sympathetic voices, with speciality, ‘dialogue’.
Saseolsijo which creates tragicomic characteristics in many different ways, deserves to be researched in that it implies glimpses of the medieval and ambivalence of modern signs, revealing optimistic worldview, the creation of anti-world, relativism and pluralism which are associated with a modern eye, etc.
목차
1. 들어가기
2. 논의를 위한 이해의 틀: “희비극성”과 “텍스트성”
3.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
4. 희비극성에 함의된 미학적 변주
5. 남은 과제들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주의 근대 문예지 『白熊』 연구
- 『무정』과 『광인일기』의 계몽성 연구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 감정 표현 관용구의 범위 설정
-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장애음 교육
- 『고향』의 재현 양식과 서술 방법
- 인터넷 연재소설의 상호 소통 방식
-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 야만적 도시 기획에 의한 사적 인간의 몰락 연구
- 김종길의 통합의 비평 연구
-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 〈太平天下〉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 청자의 감정 읽기를 활용한 부모와 자녀의 대화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거대 언어모형에 대한 대학교육의 대응
- 역사지리학과 고전문학 교육의 만남 -「만복사저포기」(萬福寺摴蒲記)의 장소성 탐구를 중심으로-
- 갈등 중재의 공적 리더십을 향한 온정적 시선 -문헌 송사설화에 나타난 법리(法理)와 정리(情理)의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