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정 표현 관용구의 범위 설정
이용수 462
- 영문명
-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conventional expressions denoting emotional meaning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연주(Jeong, Yeon-ju) 최석재(Choi, Suk-jae) 정경미(Jung, Kyeong-mi) 홍종선(Hong, Jong-s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7輯,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category of conventional expressions which denote emotional meanings definitely by considering the expressions’ typicality as a conventional expression and the typicality of meanings of ‘emotion’, and to present the list of the phrases qualified to be in that category. First, an emotion expression having combinational conventionality can be considered as a sort of a meaningful phrase unit. When a phrasal expression satisfying this condition expresses an ‘emotional’ meaning, it is probably a conventional emotion expression. Next, those expressions are divided into 2 kinds by semantic features: the typical conventional emotion expressions and the non-typical conventional emotion expressions. A typical conventional emotion expression could express its emotional meaning only as a whole phrase; Furthermore, the phrase itself includes a emotional meaning as a conventionally coded meaning; and, the phrase expresses non-intentional emotion caused by stimuli.
목차
1. 서론
2. 문제 제기
3. 감정 표현 관용구의 범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주의 근대 문예지 『白熊』 연구
- 『무정』과 『광인일기』의 계몽성 연구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 감정 표현 관용구의 범위 설정
-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장애음 교육
- 『고향』의 재현 양식과 서술 방법
- 인터넷 연재소설의 상호 소통 방식
-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 야만적 도시 기획에 의한 사적 인간의 몰락 연구
- 김종길의 통합의 비평 연구
-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 〈太平天下〉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 청자의 감정 읽기를 활용한 부모와 자녀의 대화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국어의 줄임말 현상에 따른 언어변이 양상과 문제점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거대 언어모형에 대한 대학교육의 대응
- 역사지리학과 고전문학 교육의 만남 -「만복사저포기」(萬福寺摴蒲記)의 장소성 탐구를 중심으로-
- 갈등 중재의 공적 리더십을 향한 온정적 시선 -문헌 송사설화에 나타난 법리(法理)와 정리(情理)의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