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이용수 496

영문명
Academic Exchanges through Letters with Chinese Intellectuals of Qing Dynasty - Cases of Lee Deok-Mu and Park Je-Ga -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權政媛(Kwon, Jung-wo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2輯, 103~1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의 문인이 청의 지식인을 직접 만나 교유한 것은 1765년 홍대용의 연행에서 비롯되었다. 홍대용은 연행에서 돌아와 그들과 주고받은 필담을 『건정동필담』이라는 기록물로 남겼다. 이 책은 당시 많은 문인들에게 널리 익혔고, 조선후기 문인들 사이에 청의 지식인을 직접 만나 필담을 나누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는 자신이 직접 연행에 참여하기를 열망하게 하였고, 실제 연행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로 이어졌다. 특히 이덕무와 박제가는 이러한 분위기에 가장 격렬하게 반응하였고, 청대 문인들에게 먼저 척독을 보내는 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후 이덕무와 박제가는 연행에 참여하여 북경에서 청의 지식인들을 직접 만나게 되는데 그것은 1778년의 일이다. 하지만 그 이전에 이들은 청의 지식인들에게 척독을 보내 인간적 교유를 맺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학술적 교류를 하고 있었다. 이덕무와 박제가가 청의 지식인에게 보낸 척독은 각각 9편과 3편으로 모두 12편이다. 이들 척독은 단순히 서로의 안부를 묻거나 인간적 교유에만 머물지 않았다. 척독을 보내면서 자신이 지은 시문과 글씨를 함께 보내기도 하고, 때로는 선물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문집 혹은 시문에 품평을 부탁하거나, 서문.기문.편액.글씨 등을 부탁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덕무는 척독의 뒷부분에 ‘별지’ 양식으로 평소 궁금하던 학술적 궁금증을 問目으로 덧붙이고 있다. 이덕무가 청의 지식인에게 보낸 문목은 모두 37개로, 이들의 내용은 자녀의 명수와 나이, 이름 등을 묻는 개인적인 것도 있고 조선과 중국의 풍속의 차이를 묻는 문화적인 것도 있다. 하지만 문목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서책에 나오는 문구나 단어의 뜻과 연원을 묻거나’, ‘중국에서 간행된 조선의 서적에 대한 것’이나 청의 畵壇 및 사상계의 동향에 대한 것들이다. 이는 이덕무가 청의 서적을 널리 읽고 청의 문단에 대한 관심이 높았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조선 문단의 동향을 대변하는 것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지면관계상 문목의 일부만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를 통해 이덕무가 양명학에서 모기령의 고증학까지 反朱子의 계보를 인지하고 있었고, 四庫全書라는 중국 지식의 집합체에 관심을 가 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홍대용의 연행이후 10여년 동안 조선의 문단에는 많은 변화들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청으로부터 유입된 서적과 청의 지식인들과의 교류가 주요 원인이 되었다. 척독은 청의 지식인들과의 교류의 수단이었고, 척독 속 問目은 조선의 지식인 이덕무의 지적 관심사를 담고 있는 것이었다. 이덕무는 博學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고, 서책의 동향, 특히 청으로부터 유입되는 서책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앞선 위치에 있었다 하겠다. 그러 므로 이덕무 개인의 지적 관심사를 통해 조선 문단에서 일어난 지적 변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하겠다.

영문 초록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government dispatched a group of ambassadors to China ("yeonhangsa") more than 500 times in 250 years since 1637, or 15th year of King Injo's reign. However, it was not until Hong Dae-Yong visited China in 1765 that Chosun literary classes began to directly interact with Chinese intellectuals. After returning from the visit to China, Hong Dae-Yong wrote 'Geonjeongdongpildam,' to record his exchanges with Chinese intellectuals. The book became popular among the literary classes, and by the late Chosun Dynasty, it became quite fashionable for the intellectuals to have written exchanges with Chinese scholars. Chosun intellectuals longed to join the group of ambassadors to China, and sought such opportunities. Lee Deok-Mu and Park Je-Ga were one of the enthusiasts for such exchanges, and they sent letters to Chinese intellectuals. Later they joined the group to visit China in 1778. Even before that, they sent letters ("cheokdok") to form friendly relationships, which developed into academic exchanges. Lee and Park sent nine and three letters respectively, to Chinese intellectuals. The purpose was not just to exchange greetings and personal news. They enclosed their poem, calligraphy, and gifts. They would ask Chinese intellectuals to review their writing, and ask for writing, calligraphy or framed pictures in return. At the end of the letters, Lee would attach an annex, a list of questions ("munmok"). Thirty-seven questions remain to date, some of them asking personal questions such as the number of offsprings, their ages, names, and others more culture-related questions asking unique customs of China and so forth. A majority of the questions were on the meaning and origin of words and phrases found in Chinese writing, Chinese books on Chosun, as well as artistic and philosophical trends of Qing Dynasty. These show that Lee widely read Chinese books and had great interest in Chinese literary circle. Such interest was quite prevalent in Chosun literary circle at the time. The short letters of Lee and Park were important vehicle for cultural exchanges with Chinese intellectuals. The enclosed questions show the scope of intellectual interests of the time. They are revealing documents that show changing trend of Chinese intellectual society that transpired between the time of Hong Dae-Yong's visit to China and that of Lee Deok-Mu and Park Je-Ga some ten years later.

목차

1. 머리말
2. 청대학인과의 우정과 학술교류
3. 척독을 통한 학술교류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權政媛(Kwon, Jung-won). (2011).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동양한문학연구, 32 , 103-128

MLA

權政媛(Kwon, Jung-won).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동양한문학연구, 32.(2011): 10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