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이용수 459

영문명
The Appreciation by Joseon's Intellects of Japanese Kogaku introduced through the Dispatch of Tongshinsa in the 18th Century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김성준(Sung- Jun Kim)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2輯, 155~18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다자이 슌다이(太宰春臺)로 대변되는 일본 古學은 18세기 행해졌던 세 번의 사행을 통해 조선 지식인사회에 맹렬한 비판과 함께 학술적 깊이를 더해가며 수용 혹은 배척되었다. 1719년 己亥使行의 申維翰의 『海遊錄』에서 보이는 일본의 유학에 대한 인식은 조선사회 내부에서 시간이 지나도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1813년 茶山의 『論語古今註』라는 필생의 대작에서 이 세 명의 일본유자들의 경학은 재평가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와 구한말은 청나라의 고증학과 천주교 및 서구의 문물이 조선에 범람하는 시기로, 주자학 일존주의의 조선이 유동하였다. 剛齋 宋穉圭와 梅山 洪直弼로 이어지는 노론 성리학들은 오랑캐나라의 유술에 논란을 하는 것조차 의미 없는 일이라 치부하지만 臺山 金邁淳에 이르면 다자이 슌다이와 그 스승인 오규 소라이의 학술을 비판함과 동시에 그 이론의 핵심을 논란하게 된다. 그리하여 대산과 친밀한 교류를 나누었던 다산은 18세기 내내 일본은 물론이고 조선 사회에서 논란을 일으켰던 일본‘古學’의 세 巨匠의 경학을 자신의 필생의 저작 『論語古今註』를 통해 그 시비를 가리며 발전적으로 수용한다. 한편, 조선 지식인 사회에 획기적인 선을 그었던 朴齊家, 李德懋 등으로 대표되는 북학파는 강재와 매산 및 대산 등 주자성리학자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일본 고학파를 바라보았다. 그들은 일본 고학파의 주장에 학문적 동조는 하지 않으나 그들의 문아와 성취를 냉정하게 읽고 적극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선후기 일본 古學의 수용과정은 성리학 일변도의 정치.사상계에 양명학과 고증학이 대립각을 세우며 유동했던 조선의 내부 상황과 맞물려 있다. 18세기 세 번의 통신사행을 통해 유입된 고학파의 서적들은 대개 이단시되면서도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퍼져나갔고 점차 그 이해의 폭도 층위를 달리해 갔다.

영문 초록

In the 18th century, Joseon dispatched Tongshinsa to Japan thre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Japanese Kogaku, which the delegates of Tongshinsa introduced to their country, was accepted or rejected in Joseon society. After returning from the first dispatch in 1719, called Kihaesahaeng, Shin Yu-Han wrote 『Haeyurok』(『海遊錄』)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Japan's Zhuxi Studies and Kogaku to Joseon. Delegates who were the members of the second dispatch in 1748, called Mujinsahaeng, brought Ito Jinsai's main writings like 『Noneogoeui』(『論語古義』), 『Eomaengjaeui』(語孟字義』),『Jungyongbalwhi』(『中庸發揮』), 『Daehakjeongbon』(『大學定本』) and 『Gohakseonsaeng Munjip』(『古學先生文集』) from Japan to Joseon. They also clearly noticed that another unorthodox doctrine, the Studies of Ogyu Sorai was in fashion in Japan. Literal scholars who were the delegates of Tongshinsa in its last dispatch in 1763, called Gyemisahaeng, observed that in Japanese society, the Studies of Ogyu Sorai was very popularized on one hand, but Ogyu Sorai was being extremely criticized on the other hand. Anyway, it was those scholars who introduced in more detail the unorthodox doctrine by Ogyu Sorai to Joseon. Books about Japanese Kogaku, brought by the delegates of Tonshinsa who were dispatched three times in the 18th century, were more and more distributed among the intellects of Joseon, though still deemed unorthodox. The extent to which the publications were understood were different among those intellect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ung Confucianism dominated the schools of scholars. Especially, the mainstreams of the Confucian philosophy, the Yangming Studies and the Zhuxi Studies prospered by turns as they competed or confronted with each other. How Japanese Kogaku was accepted in Jose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oresaid situation of the country. The difference in the extent to which Japanese Kogaku was understood by the intellects of Joseon, that might have been attributed to the passage of time, as found between Shin Yu-Han's 『Haeyurok』(『海遊錄』) published in 1719 and Dasan's 『Noneogogeumju』(『論語古今註』) in 1813 or to difference in scholastic position among those intellects, may be considered as a barometer that clarifies how different studies were developed as they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Joseon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己亥使行을 통한 일본 程朱學 인식
Ⅲ. 戊辰.癸未使行을 통한 일본 古學派 인식
Ⅳ. 북학파의 일본 古學派 인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준(Sung- Jun Kim). (2011).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32 , 155-181

MLA

김성준(Sung- Jun Kim). "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32.(2011): 15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