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이용수 355

영문명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 With a focus on 『Yeogangrok(驪江錄)』 by Shin Gwang-su -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권경록(Kwon kyong-ro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2輯, 63~10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여강록』을 중심으로 18세기 지식인 石北 申光洙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를 밝힌 것이다. 신광수는 18세기 조선의 정치현실에서 좌절감을 맛본 南人 지식인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이 직면한 정치현실에서 절감한 좌절감과 당대의 문화지형 속에서 자신이 체험하고 목격한 여주 ‘여강’을 기존의 문학작품에서 보이는 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그만의 장소로 의미화 시킨다. 이는 여주 ‘여강’에 대한 재발견이며, 18세기 지식인의 의식적장소 만들기이다. 18세기 소외된 남인 지식인에게 산수자연은 현실의 삶에서 발생하는 정신적 갈등과 모순에서 벗어나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간이었다. 18세기 지식인 신광수의 의식적 장소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여강’은 자신의 처지에서 오는 울분을 벗들과 교유하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해소하는 소통의 場이었다. 신광수는 신분적 한계를 절감하면서 知友들과의 산수유람을 통해 시를 수창하며 내적 고뇌를 해소했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同人들과 교유를 이어가며 학문적으로 동질감을 유지해 나갔다. 따라서 그의 시에 표상된 여주 ‘여강’과 한강 물길은 정치적으로 소외된 현실적 좌절감을 해소하고 중앙으로의 접근을 의미하는 심상의 장소였다. 표면적으로 신광수에게 여주 ‘여강’은 유람과 체험의 대상인 산수자연이었지만, 심층적로는 堪輿說로 대표되는 그의 공간인식이 구현된 현실정치의 영역으로서의 장소였으며, 한강 물길은 그 통로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geography of Seokbuk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based on his Yeogangrok. Shin was a Nami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d frustrations from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With his frustrations with the political reality of Joseon in those days and his experiences and eyewitness accounts with "Yeogang" of Yeoju in the cultural geography of the times, he beautified it as a place of his own in different meaning from the old literary works. It was a re-discovery of "Yeogang" of Yeoju and an 18th-century intellectual's conscious place-making. To the Namin intellectuals who were alienated in the 18th century, nature including the mountains and waters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shed off their ment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pursue balance and harmony. "Yeogang," which was born out the conscious place-making of Shin Gwang-su, an 18th-century intellectual,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here he could share his pent-up rage derived from his situations with his friends and exchange with nature. Experiencing his social status limitations fully, he promoted poetry by making an excursion to mountains and rivers with his close friends and resolved his internal agony. In addition, he maintained academic consensus with his fellow members, continuing to have social intercourse with them. Thus Yeogang of Yeoju and the waterway of Han River described in his poetry were mental places where he would resolve his realistic frustrations derived from his political alienation and attempt to approach the center. Yeogang of Yeoju was the nature containing mountains and waters he would explore for excursion and experience on the surface and the domain of realistic politics where his spatial perception, which was represented by Gamyeoseol, was embodied on a deeper level. The waterway of Han River was a gateway to it.

목차

Ⅰ. 서 론
Ⅱ. 18세기 문화지형과 지식인의‘場所感’
Ⅲ. ‘여강’, 18세기 지식인의 장소 만들기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경록(Kwon kyong-rok). (2011).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동양한문학연구, 32 , 63-102

MLA

권경록(Kwon kyong-rok). "18세기 지식인의 공간인식과 심상지리." 동양한문학연구, 32.(2011): 6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