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汾西 朴瀰의 書畵애호와 그 기록

이용수 134

영문명
Bunseo Park-Mi(朴瀰)’s love with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its recording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성민(Lee, seong-mi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2輯, 305~32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汾西 朴瀰는 병자호란이 끝난 뒤 강화도에서 돌아와, 소장하고 있던 8점의 서화 작품들을 다시 裝幀하여 병풍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라는 제목 하에 총 8편의 記를 지었다. 이 글에는 서화 品評에 뛰어났던 박미의 모습을 비롯하여 當代 서화계의 다양한 품평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아울러 서화와 관련된 다수의 逸話가 채록되어 있다. 따라서 17세기 전반기 서화계의 실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의 내용은 4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宣祖의 御筆 서화에 대한 品評으로, 宣祖의 서화 취향과 성취를 기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當代의 전문적 서화 품평 활동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특히 뛰어난 서화 품평가로서 白沙 李恒福의 위상이 잘 나타나있다. 셋째, 서화 관련 일화의 채록이다. 초상화에 뛰어났던 李信欽 관련 일화는 여타 기록에 보이지 않는 흥미로운 기록이다. 이 일화들은 17세기 전반기 조선 서화계의 이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넷째 松雪體에서 王羲之體로의 書體 변화에 대한 박미의 비판적 입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는, 題跋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이전 시기 서화 관련 논의의 형태를 벗어나, 같은 제목 하에 서화만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unseo Park-Mi returning from Kanghwa(江華) Island after Byeongja-horan was over made folding screen again by arranging 8 pieces of work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he wrote total 8 writing with title of Byeongjananhu-jipgujangbyungjangi(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 meaning of recording document that was written after manufacturing folding screen with collecting old paintings owned by him after Byeongja-horan was over. Various evaluation activitie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world at that time were recorded in this writing. Together, many anecdotes related to calligraphy and paintings were colle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data that show actual circumstance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world at first half years of 17th century. The contents of this writing can be summarized by four. First, that make evaluation about King Seonjo(宣祖)'s work, there is a meaning that recorded King Seonjo's inclination and accomplishment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Second, it recorded contents about professional calligraphy and paintings evaluation activity at that time. Especially, he raised the image of Baeksa Lee-hangbok(李恒福) as excellent calligraphy and paintings evaluator. Third, it is collection of anecdotes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hese anecdotes are important at point that show part which it is not known well of Joseon dynasty calligraphy and paintings world at first half years of 17th century. Fourth, we can confirm Park-Mi's critical standpoint about change from Songseolche(松雪體) to Wangheejiche(王羲之體), need more specific investigation about this point. Byeongjananhu-jipgujangbyungjanggi, escaping discussion form related to calligraphy and paintings attained sporadically through Jebal(題跋) at previous time, can be evaluated by the value of “The first recording” that discuss only calligraphy and paintings intensively under same title.

목차

Ⅰ. 머리말
Ⅱ.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의 내용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민(Lee, seong-min). (2011).汾西 朴瀰의 書畵애호와 그 기록. 동양한문학연구, 32 , 305-328

MLA

이성민(Lee, seong-min). "汾西 朴瀰의 書畵애호와 그 기록." 동양한문학연구, 32.(2011): 305-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