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이용수 132
- 영문명
- Organization of the Beiyang Army and Its Financial Resources, 1902-1906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구범진(丘凡眞, Koo, Bumjin)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35집,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北洋常備軍의 창설에서 北洋六鎭의 성립까지 北洋陸軍 각 鎭의 전후 계승 관계와 北洋陸軍의 군비 조달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北洋陸軍의 성격을 재평가하려는 試論이다. 北洋陸軍은 直隸總督 袁世凱의 주도로 편성되었으며, 光緖 28년부터 32년까지 袁世凱가 조성한 재원이 北洋陸軍의 재원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떤 기준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많게는 약 63%, 적게는 약 40%에 달하였다. 따라서, 北洋陸軍 5개 鎭(第2鎭~第6鎭)에 대한 直隸總督의 ‘지분’은 최소 40%에 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光緖 33년부터 陸軍部가 北洋陸軍에 대한 군권을 장악하였지만, 第2鎭 이하 5개 鎭의 40%에 해당하는 第2鎭과 第4鎭의 군권은 여전히 直隸總督이 유지하였다. 直隸總督이 第2鎭과 第4鎭의 군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兩鎭의 소속 병력 전체가 直隸 경내에 주둔하였다는 점 외에 또 다른 ‘연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第2鎭과 第4鎭은 각각 北洋常備軍 第1鎭과 第2鎭의 後身이었고, 北洋常備軍 第1鎭과 第2鎭은 光緖 29년 말 이래 練兵處 주도의 군제 개혁 이전에 袁世凱가 直隸의 新軍으로 편련한 北洋常備軍 左鎭과 右鎭의 後身이었다. 다시 말해서, 陸軍 第2鎭과 第4鎭은 그 기원을 따져 볼 때 어디까지나 直隸의 ‘地方軍’이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这篇论文是对北洋陆军的性质, 进行再评价的一个试论. 首先, 本文提示出从光緖28年北洋常备军的创设到光緖31年北洋六镇成立, 北洋陸军各镇的前后继承关係. 再者, 详细分析考察北洋陸军的军费筹措状况. 北洋陆军是在直隶总督袁世凯的主导下所编练而成. 那麽, 从光绪28年到32年, 有关袁世凯所筹措而来的财源, 在北洋陆军全部财源中, 占多少比重? 虽然这会因採用何
种认定标準而有所不同, 然而高估的话, 约占63%, 低估的话, 也有约41%. 因此, 假使直隶总督袁世凯对北洋陆军五镇(第2镇~第6镇)要求若干“股份”的话, 少说也占有40%. 有趣的是, 从光绪33年开始, 陆军部虽然掌握了北洋陆军的军权, 然而占五镇中40%兵力的两镇(第2镇和第4镇)的军权, 仍然由直隶总督所掌握.
목차
Ⅰ. 머리말
Ⅱ.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
Ⅲ. 北洋陸軍의 財源
Ⅳ. 맺음말: 北洋陸軍과 중앙-지방 관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 高句麗太王號의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 大衆의 ‘反知識人’ 運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役割
- 吳祿貞과 「延吉邊務報告」
-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송대 채소 재배업과 채소 가격 연구
- 왕안석의 집권과 신법의 시행
- 北宋時期 商稅制度와 西北 入中商人의 原價分析
- 송요시기 민족융합론에 대한 시각과 비판
- 宋代 文化形成과 人文學의 發展
-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 계약문서를 통해 본 청대 臺灣의 一田兩主 慣行의 형성과 변용
-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 러시아.우즈베키스탄.북한, 그리고 다시 우즈베키스탄
-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