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이용수 1106
- 영문명
- Chinese Korean Cultural Change and Cultural 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鄭喜淑(ZHENG XI SHU)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35집, 555~5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조선족 민족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필자는 그 답을 문화변동이론으로 접근하여 해석하려 한다. 다시 말해, 조선족 문화변동에 따른 조선족의 황무지개간, 벼농사 등 농경문화의 적응, 조선족의 언어, 문학, 음악, 무용, 조선족의 의식주, 의례와 놀이문화사례 등의 관찰을 통해 조선족문화가 한국이나 조선의 문화도 중국의 문화도 아닌 조선족 그 자체 문화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조선족사회에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조선족문화”설을 <일본조선족문화 심포지엄>에서 경험한 바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조선족문화에 대한 이해가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서술하고, 조선족의 ‘사과배’ 문화와 조선족 언어문화에 대한 규범화에 따른 사례로 ‘조선족문화’란 바로 “조선족 그 자체 문화”라는 황유복의 이론을 확인했다. 나아가 조선족문화도 21세기에 맞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야 하며, 그 발전 대책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o the question—“Who are we?”—about Chinese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essay tries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 theory of culture change. That is, the present writer explains that ethnic Korean culture in China is the Chinese Korean culture itself, neither Korean nor Chinese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ethnic Korean cultural cases such as cultivation, rice farming, language, arts, the necessities of life, rituals, pastime culture and so on. Remembering the experience of the emerging issue of Chinese Korean culture at a symposium in Japan, the writer describes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Korean culture and confirms Youfu Huang's opinion that the Chinese Korean culture is “Chinese Korean its own culture” as a model case for standardization of the ethnic Korean “apple-pear”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for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culture should create a new sustainable culture; and the writer
suggests promotion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measures for its develop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족에 대한 개념과 조선족문화
Ⅲ. 조선족 문화변동에 따른 문화의 이해
Ⅳ. 조선족 문화정체성에 대한 논의
Ⅴ. 결말: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책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 高句麗太王號의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 大衆의 ‘反知識人’ 運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役割
- 吳祿貞과 「延吉邊務報告」
-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송대 채소 재배업과 채소 가격 연구
- 왕안석의 집권과 신법의 시행
- 北宋時期 商稅制度와 西北 入中商人의 原價分析
- 송요시기 민족융합론에 대한 시각과 비판
- 宋代 文化形成과 人文學의 發展
-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 계약문서를 통해 본 청대 臺灣의 一田兩主 慣行의 형성과 변용
-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 러시아.우즈베키스탄.북한, 그리고 다시 우즈베키스탄
-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