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大衆의 ‘反知識人’ 運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役割
이용수 47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기효(金祺曉)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35집, 361~3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중국 수립 이후, 중국의 지식인들은 대중과는 꾸준히 遊離되어 왔으며, 이를 主導한 사람이 바로 모택동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정풍운동, 반우파운동, 문예정풍운동, 사회주의 교육운동, 그리고 특히 문화대혁명에서 충분히 표현되었다. 그 중에서도 문혁 시기 발생한 대중에 의한 이른바 ‘반지식인’운동에서 표면적으로 보이는 박해자는 주로 중국의 대중이었지만, 결국은 대중운동을 이해하고 이용하였던 모택동의 역할을 부정할 수는 없다. 본고는 문혁 시기 발생한 대중의 ‘반지식인’운동에서 모택동의 역할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펴, 문혁 시기 대중에 의해 일어난 지식인에 대한 비판과 박해가 모택동과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음을 밝히는데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대중운동을 통한 모택동의 정치적 성격과 문혁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通路를 開拓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중국에서 역사적인 사건이 된 문화대혁명은 ‘用民’(대중동원)을 통한 ‘反知’를 실현하고자 했던 모택동의 인식이 反映된 것이며, 대중운동을 통해 중국을 통치하고자 했던 그에게 대중운동은 통치의 ‘핵심’이 되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新中国建立之后, 中国的知识分子们一直坚持不懈的脱离着大众, 这件事情的主导者就是毛泽东。这种情况反映在:整风运动, 反右派运动,文艺整风运动, 社会主义的教育运动, 这些都在文化大革命时期充分地表现了出来。在此时期, 也就是文革时期, 在“反知识人”运动中的主要迫害者就是中国的人民大众, 但是对于理解和利用大众运动的毛泽东的重要角色我们不能予以否定。笔者观察, 对于文革时期发生的大众的“反知识人”运动中毛泽东扮演的角色又是什么呢?通过这个作业, 了解到文革时期依靠大众对知识人的批判和迫害, 和毛泽东有着直接的关联, 通过这个研究报告, 笔者审视大众运动之后, 对于毛泽东的政治性格和对于文革能够了解到的新的道路的开拓点的认识也有一定的写作意图。通过这个研究报告, 反映给笔者的是, 中国历史上的文化大革命事件中, 通过“用民”要实现“反知”的毛泽东的认识, 通过大众运动对中国的统治使得毛泽东的成了统治的核心。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중의 ‘반지식인’운동에 있어서 모택동의 역할
Ⅲ. 紅衛兵運動과 지식인 박해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淸末 北洋陸軍의 편성 과정과 財源
-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 高句麗太王號의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 大衆의 ‘反知識人’ 運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役割
- 吳祿貞과 「延吉邊務報告」
-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송대 채소 재배업과 채소 가격 연구
- 왕안석의 집권과 신법의 시행
- 北宋時期 商稅制度와 西北 入中商人의 原價分析
- 송요시기 민족융합론에 대한 시각과 비판
- 宋代 文化形成과 人文學의 發展
- 民間信仰의 公認과 擴散
- 계약문서를 통해 본 청대 臺灣의 一田兩主 慣行의 형성과 변용
- 러시아(소련)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식
- 러시아.우즈베키스탄.북한, 그리고 다시 우즈베키스탄
- 17世紀 地域과 世界의 만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