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이후의 세계화 시대 서독의 문화코드와 ‘독일모델’로 정착된 경제문화 특징의 변화

이용수 311

영문명
Globalization and Cultural Changes in Germany since 1980s: focused on the discussions of "German Model"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노명환(Meung-Hoan Noh)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7집, 339~38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일 국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국민정체성과 문화코드를 역사 속에서 설명해 내는 작업을 한 결과 준법정신, 질서의식, 조화, 정확성, 사실성, 철저성,완벽성, 경건성, 심오함, 전문성, 근면성, 검소, 직업소명관, 실용성, 효율성, 높은 사생활의식 등의 문화코드들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일인들이 지향하는 가치들이 근면성, 검소, 직업소명관, 정확성, 철저성, 강한 사생활 의식, 실용성, 완벽성, 조화 등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독일인들은 이러한 가치들을 국민 성으로 갖고자 하였다. 여러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독일 경제는 엄격한 기술·훈련제도에 의거한 산업인력에 기초를 두고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19세기 후반 독일이 빠르게 산업화할 수 있던 배경에도 바로 이러한 인력수급 구조가 자리잡고 있었다. 근면, 검소, 직업소명관 정신과 함께 정밀·정확성을 문화코드의 하나로 갖게 된 독일인들은 산업·기술 인력 조달에서 큰 장점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관련성에서 여러 학자들이 독일인들에 대해‘생산의 국민정체성’을 언급한다. 서독 국민들은 전통적인 독일기업문화의 특징들을 수렴시켜 ‘독일모델(Modell Deutschland)’을 창출하였다. 독일모델의 역사는 자유주의를 사회적으로 제한하는 ‘규정자유주의 (ordo-liberalismus)’ 그리고 ‘사회시장경제(social market system)’ 시스템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는 기존 의 자본주의를 수정한 한 형태이며 사회적 합의를 근간으로 하는 경제시스템으로서 자유시장경제 또는 자유자본주의 와는 큰 차이를 갖게 되었다. 경제시스템과 관련한 독일모델은 독일 자본주의의 한 형태를 일컫는다. 그런데 세계화와 더불어 독일의 문화코드에 기반한 정밀기계 공업의 제품들이 가격경쟁력을 크게 잃게 되고 정보 기술 산업에서 큰 경쟁력을 갖지 못하면서 독일모델에 위기가 조성되었다. 사회시장 경제를 지탱해줄 생산력에 있어서 근본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볼 때 그 오랜 문화적 전통위에 형성된 독일모델이 이러한 위기에 제대로 응전하여 새롭게 경쟁력을 보여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former studies, I concluded that the values which the Germans pursue for highly rate oder keeping, strong obedience to law, harmony, professionalism, precision consciousness, perfectionism, high consciousness to job, utilitarianism, effectiveness, and strong sense of privacy are embedded in the contents of German national culture. These values are to be regarded as German cultural codes. Markovits maintains that “Modell Deutschland (German Model)” in the field of the Political Economy of West Germany is based on the German values of discipline, punctuality, obeidence, conscientiousness, thoroughness, excellence and frugality and so on. The German political economy has been based on these German cultural codes. To Markus Spaulding these realize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vocational training and productivity cooperation. The centralized corporatist associations of trade unions and employers' associations nationally standardized and rigorously enforced vocational training curricula. Thus, the core components of the German model for the systemic combination of high wages and hig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ere based on the craft-based production system. Until the late 1980s, the German production system, which had maintained the legacy of the craft system, was praised for its high-quality products and incremental innovation based on decentralized production by high-quality labor. It was characterized by highly skilled workers and professional specialization instead of Tayloristic de-skilling of labor. The strength of the German companies was based on this highly skilled labor. Until the 1980s, the German model was praised for hig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high wages, low unemployment, low inequality of incomes and living standards, and peaceful industrial relations. The German model of political economy had been an enviable alternative to the liberal market until the late 1980s. However, it faced serious structural crisis throughout the 1990s. In relation to these developments many scholars, for instance, Wolfgang Streeck, maintain that it indicates the limit of German Model in the face of rapidly deepening globalization. According to them, under the accumulating globalization processes the american-led liberal system proved out more competitive system in comparison to German one. Wolfgang Streeck, one of the main proponents of the German model, expected the convergence of the German economy toward an american-led liberal market economy under globalization because of "a secular exhaustion of the German model. He believed that the postwar German model was based on the politics between labor and capital within a national boundary, but globalization represents a fluidity of financial and labor markets that extricates whatever coordination has been nationally accomplished. By contrast, many institutionalists, including Peter Hall, David Soskice, and Sigurt Vitols, argued for the persistence of the German model. they expected that Germans would solve economic problems by capitalizing on their institutional advantages compared to a liberal market economy. They believed that the crises of the German economy in the 1990s were cyclical. They concluded that the German corporatist model survived of the existing German pattern of “incremental innovation” or “diversified quality production.”Hyeong-Ki Kwon means: The German institutions in the political economy changed not only in the scope and effectiveness of existing coordinating institutions but also in the way of working, although the formal institutions, such as corporatist coordination underwent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toward a decentralized and flexible form. The traditional virtuous circle of the German model (corporatist beneficial constraints for high wages -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did not work at the end of the 1990s. The existing functional and occupation-oriented system (Beruflichkeit) of German produ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독일인의 전통적 문화코드와 ‘독일모델’
Ⅲ. 독일모델의 위기를 야기한 1980년대 이후의 세계화와 그 원인들
Ⅳ. 세계화와 독일의 문화코드 변화 그리고 경제문화 특징의 변동
Ⅴ. ‘독일모델’의 위기 ?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명환(Meung-Hoan Noh). (2007).1980년대 이후의 세계화 시대 서독의 문화코드와 ‘독일모델’로 정착된 경제문화 특징의 변화. 역사문화연구, 27 , 339-383

MLA

노명환(Meung-Hoan Noh). "1980년대 이후의 세계화 시대 서독의 문화코드와 ‘독일모델’로 정착된 경제문화 특징의 변화." 역사문화연구, 27.(2007): 339-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