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北宋時期 社會經濟發展과 商業

이용수 129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姜吉仲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27집, 127~1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당송변혁기 이후 농공산물의 상품화와 유통의 확대 등 사회생산력발전을 중심으로 상업과 시장경제체제의 형성과 발전 등 송대 사회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송조는 토지개간을 통한 경지면적의 확대, 농업생산의 지역적 전업화, 신품종보급과 재배확산, 영농기술의 발달을 통해 양적·질적 변화를 이룩하였다. 이러한 사회경제 변화는 농촌의 발전과 새로운 도시의 출현 그리고 화폐경제를 촉진하고 소비성향을 개선하였다. 그 결과 상공업이 생산 구조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와 국가 재정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제고되었으며, 농업생산력 발전에도 상호 유기적인 관계 유지하였다. 송대 상업 발달은 강남을 중심으로 집약적으로 전개되어 남북간에 문물 교류가 확대되면서 상업의 기능이 증대되었다. 또한 상업도시의 흥성과 산업의 집중화와 특산화가 이루어졌으며, 지역적 전업화에 따른 장거리 운송상업이 발달하였다. 이는 당시 국내외 교역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농업생산력 발달과 소비인구의 증가는 미맥뿐 아니라 지방 특산물의 전업화를 형성하여 생산율이 크게 제고되었다. 또한 인구의 증가는 도시집중현상을 가져와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시장이 발전하고 경제가 활성화되는 등 도시발달을 촉진하였다. 각급정부기관도 권농을 중요한 임무로 삼고 농업생산기술의 발전과 생산력 발전을 추진하였다. 농업생산물의 상품화는 수공업발전의 새로운 전환을 가져와서 경영규모의 확대와 분공생산이 세밀해졌으며 생산기술과 생산량이 크게 제고되었다. 한편 관부수공업이 자금과 설비 그리고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생산량에서 크게 우세하였다. 반면, 민간수공업은 관부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생산자의 신분상승과 생산품의 판매를 통해 권익을 획득하였다. 북송시기는 방(坊)과 시(市)의 한계선이 철저히 없어져 방 가운데 상점이 설치되면서 사실상 방시제가 유명무실해지고, 교역시간의 제한도 없어져 일시(日市)뿐 아니라 조시, 야시 등 다양한 종류의 성시(城市)가 출현하는 등 상업발전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북송시기 상업은 종류와 규모면에서 모두 상당한 발달을 가져왔다. 상업의 번영에 따라 송대 상세는 지속적으로 증가되면서 재정 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나 번잡해진 상세는 많은 부담을 주었다. 그러나 송대 상세의 규칙은 전반적으로 지나치게 가중된 것은 아니었으나 집행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북송대 사회생산력의 향상은 토지를 매개로 한 자연경제에서 상품생산을 위주로 한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을 가져와 농민에 대한 인신의 예속관계가 약화되었다. 또한 잉여생산물의 등장은 교통로의 발달과 더불어 전국 규모의 시장망을 형성하고, 국내외 문물교류가 활성화되는 등 연쇄반응을 가져왔다. 이처럼 북송시기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된 생산성 제고와 경제체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대변혁의 시기로 평가되는 당송변혁기와 자본주의맹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우리라 본다.

영문 초록

本文以唐宋變革期後工産品的商品化和流通擴大等社会生産能力發展为中心,探究商業业發達及市場经济体制的形成等宋代社会特徵。宋朝通過土地開墾事業实现了耕地面積的擴大,達到了農業生産的地域專業化、新品種的普及和栽培擴散,通過耕作技術的發達實现了量和質的變化。這樣的社会經濟條件带來了工商業的發展,促進了城市農村的發展、对外贸易的擴大及货幣經濟,從而改善了社会消费倾向。農業生産形態也出现了使剩餘産品商品化的企業型經營形態和地域專業化倾向,勞動力的土地附属關係系逐步得到缓和。此外,宋朝通過提升平民的社会地位和消费倾向,带來了生産领域的变化和发展。工商業给社会生産構造带来很大變化,提高了其在国家财政中的地位,通過维持与農業生産力發展的有機關係促進其發展。從宋代商業在財政中的作用和意義來看,商業發達的背景方面,江南社会集中進行經濟開發,擴大物品交流, 同時增大商業機能。此外,實現了國內商業城市的興盛及産業的集中化和特産化。農業生産力的發達和消费人口的增加形成了米麥和地方特产的專業化,提高了農業生産率和粮食剩餘,保證了城镇和工商業者的粮食供應,使更多耕地用于经济作物的耕作。江南地區成为政治经济中心,人口集中现象使農户耕種更高效的作物。人口集中城市的消费倾向高,通過市場這一交换经济中心地的發展活躍了。其结果是人口增長带来了城市集中现象,促进了城市发展。這種现象在江南地區表现得更为顯著。各级政府機關以鼓勵農業为最重要的任務,農業生産技術發展的同時宋代農業生産力得到發展。農業生産品的商品化带來了手工業發展的新变化,使经营规模擴大,使分工生産更加精细,大大提高了生産技術。然而官府工場占優勢,资金設備技術得到很大发展。民間工場在与官府的競爭中提高了生産者的地位,通過銷售産品獲得權益。從商品流通和商業的发展来看,北宋时期的商品流通方面,進入市场的商品品種和数量大幅增加,水陸交通路線的周圍出现了很多商業城市。北宋时期坊和市的界限徹底消除,坊的中間開始建立商店,坊市制有名無實。坊与市的界限解除,交易時間不受限制,出现了早市和夜市。宋代是商業發展進入新階段的时期,尤其是城市發展占有重要歷史地位。如上所述,北宋时期商業在種類和规模上都相當發達,在财政上起到重要作用。随着商業的繁榮, 且商税持续增加,這在宋代的财政中占有重要地位, 但是繁雜的商税增加了人民的負擔。宋代的詳細规定总体上说并非如此沉重,但在執行過程中引起很多問题。北宋社会生産力的提高将以土地为媒介的自然經濟轉換为以商品生産为主的市場经济体制,弱化了對農民的人身附属關係。剩餘産品的出现带来了交通的發展,形成了全国规模的市场網,引起了活躍国内外物品交流的连锁反應.北宋時期社会發展的原動力是生産性的提高和经济体制,系统分析的它們有助于對被稱为大變革的時期的唐宋變革期和资本主義萌芽的明确理解。

목차

Ⅰ. 머리말
Ⅱ. 北宋時期 社會經濟發展 背景
Ⅲ. 社會 生産力의 發展과 商品流通
Ⅳ. 商品流通의 擴大와 商業의 發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姜吉仲. (2007).北宋時期 社會經濟發展과 商業. 역사문화연구, 27 , 127-160

MLA

姜吉仲. "北宋時期 社會經濟發展과 商業." 역사문화연구, 27.(2007): 12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