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327

영문명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徐正和(Suh, Jung-hwa)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2輯, 199~2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李齊賢의 산문은 여유롭고 명쾌하면서도 작품의 주제를 선명하게 전달하므로 그를 뛰어난 고문가로 평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간 이제 현을 ‘고문의 창도자’로 규정한 것에 대해 필자는 견해를 달리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문화교류는 신속하게 진행되어 늦어도 100, 150년 정도 내에서 수용되고 變奏되었다. 그러나 이제현을 한국의 고문창도자로 규정할 경우, 중국의 고문창도자라고 할 수 있는 한유와의 거리가 500여년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한중 문화교류의 일반사와 크게 괴리된다. 둘째, 고문운동은 문학운동이자 사상운동이지만, 이러한 잣대를 적용하여 이제현에게 고문창도의 공을 물려줄 필요는 없다. 고려 문단에서 고문운동이 반드시 일어날 필요도 없거니와 이 두 가지 중에서 어떤 하나가 먼저 발생할 수도 있다. 중국의 잣대를 고려 문단에 적용시켰기 때문에 고려전・중기는 적막한 시대가 되었고, 이 당시의 산문은 그 의미가 평가절하 되었다. 셋째, 고려문단에서는 12세기 무렵부터 당송고문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이제현에 비해 사상운동의 측면은 미약하였으나, 문학운동의 측면은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金黃元이 변려문에 반발하여 고문을 창작한 것, 林椿이 형식에 치우친 場屋文學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 李奎報가 새로운 문학론을 제출한 것이 그 예이다. 넷째, 고려 중기에 假傳이 창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송고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贈序類와 論說類 산문들이 창작 현장에서 이미 실현되고 있었다. 또한 당송고문의 字句만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를 개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등 자유자재로 당송고문을 변주하였다. 고려시대 산문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그간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다’라고 설정한 좌표는 수정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고려시대 산문사를 바라보는 온당한 시각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Lee Je-hyun demonstrated his writing talents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emporary critics evaluate him as a great writer. However, I would like to offer an alternative view of estimating him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I suggested several reasons in this paper like below. Firs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lways had been progressed within 150 years top. In this case, we can't define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cical style prose in Korea. Because he was born over 500 years later than Han Yu, who w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during the Tang dynasty in China. Second, the movement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was about literature and also about ideas. But we can't apply this concept to Lee Je-hyun as it is. That is because the condition of Koryo was totally different from China's. Writing prose had not that big meanings during the Koryo dynasty. Third, the literary world of Koryo certainly recognized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 There were several writers who presented their own theory about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Kim Hwang-won(金黃元), Lim Chun(林椿) and Lee Kyu-bo(李奎報) were typical writers during that period. Fourth, a number of writers already created variety form of prose skillfully before Lee Je-hyun. They were not limited just following the literary style of Tang and Song.Considering above reasons, I think we should revise erstwhile evaluation of Lee Je-hyun as an advocate of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nd we should reestablish a proper view of the literary history of Koryo dynasty

목차

1. 문제제기
2. 이제현이 고문을 창도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
3. 고려 전・중기의 문풍 개혁 시도와 고문 창작의 실제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徐正和(Suh, Jung-hwa). (2010).‘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대동한문학, 32 , 199-229

MLA

徐正和(Suh, Jung-hwa).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대동한문학, 32.(2010): 199-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