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이용수 564

영문명
Cultural 'nets' of meaning of the plantain(芭蕉)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인숙(Lee, In-suk)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2輯, 295~33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芭蕉의 문화적 의미를 파초와 연관되는 역사인물과 그 고사, 문학과 회화에서의 형상화, 원예문화와의 관련성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초의 커다란 푸른 잎과 속이 빈 잎 줄기, 여름의 무성함과 가을의 조락, 새잎이 계속해서 펴져 나오는 생장 모습 등의 생태는 다양한 인문적 상징을 낳았다. 파초에는 維摩詰, 王維, 懷素, 張載 등 역사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있 다. 유마힐의 “是身如芭蕉 中無有堅”이라는 비유는 육신의 덧없음이라는 생멸무상의 불교적 의미를 파초에서 연상하게 하였다. 왕유가 그린 雪中芭 蕉는 실제의 너머를 지향하는 超逸한 寫意의 정신을 파초에서 환기시키게 하였다. 초서의 대가인 회소가 파초를 심어 그 잎에 글씨를 연습한 種紙鍊字 고사로 인해 파초는 부단한 연찬을 상징하게도 되었다. 성리학자 장재는 파초를 통해 觀物察理한 <파초>시를 남겨 조선시대 지식인들에게 파초는 격물치지의 대상으로서도 인식되었다. 파초는 唐詩에서 파초 잎에 시를 쓰는 蕉葉題詩, 여름날 파초 잎에 부딪치는 빗소리를 듣는 芭蕉雨聲, 고향을 떠난 파초처럼 나그네로서 파초우성을 듣는 旅心 등의 시정으로 문학화 되었다. ‘高逸圖’ ‘十八學士圖’ ‘西園雅集圖’ 등의 故事圖에서 파초는 등장인물의 高逸한 인격과 우아한 주거환경 을 은유한다. 18∼19세기에는 지식인들이 화훼를 가꾸고 관련 문장을 저술하는 등 원예문화가 붐을 이루어 파초의 생활 속 향유 또한 파초의 문화적 의미를 형성한 요소가 되었다. 조선시대 문예 작품에서 사물은 물 자체로서 인식되기보다 그것의 역사적, 인문적 의미망 속에서 환기되었다. 산수화가 臥遊의 효용을 제공했듯 사군자화는 比德의 의미로 통용되었다. 파초는 유사한 외래종의 이국 식물인 종려나 소철, 화리 등에 비해 유난히 애호되었고 문학과 회화에 등장한다. 그것은 한자문화권의 文翰의 역사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이러한 문화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영문 초록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lantain made a frequent appearance in paintings.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thesis to research the plantain's connection to historic figures and events, its expression in literary works, its meaning in pain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lantains in the garden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 literary work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lantain are abstracted in broad and wide leaves, coreless cladophyll, lush leaves in summer and its withering, and its growing looks with new leaves spreading out continuously. There are some old events related to some historic figures such as Yumahil(維 摩詰), Wangyu(王維), Hoeso(懷素), and Jangjae(張載). Yumahil compared the plantain to the transience of the physical body, and so the plantain got the Buddhist meaning of transience of birth and death. Wangyu painted a plantain piled up with snow, and from this, the plantain was considered to arouse a spiritual mood aiming to reach a world beyond reality. A master of cursive characters, Hoeso, didn't have paper to write on, and so he practiced writing on the plantain leaves. So the plantain is considered to symbolize continuous effort to study hard. A Neo-Confucianist, Jangjae, made poems on plantains, and that was about what he perceived by observing their ecology. And the poems reflect his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nd so, the plantains are cognized as an object ofgaining knowledge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hoseon dynasty.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plantain, having roots in the poetry of Tang dynasty,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Choyeopjaesi(蕉葉題詩)-writing on a leaf of plantain, Pachowooseong(芭蕉雨聲)-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 Yeoshim(旅心)-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a place away from home. In old paintings such as ‘Goildo(高逸圖)’ ‘Sippalhaksado(十八學士圖)’ ‘Sawonahjipdo(西園雅集圖)’, plantains were mostly painted as precious and beautiful scenery with oddly shaped stones, and they are a metaphor for the lofty personality and elegant hosing environment of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gardening culture was created as a boom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y initiated some activities such as growing flowering plants and writing some sentences about th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lanting plantains and their effectiveness in real life worked as factors in many paintings of plantain. Natural objects used as subject material in literary works of the Choseon dynasty have been called to attention here in their historic and literary nexus or 'nets' of meaning. That the plantain, although it was from abroad and not commonly seen, is frequently used as a subject in painting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regarded as the effect of old events related to historic figures and to traditional usage i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목차

1. 머리말
2. 파초가 연상시키는 역사 인물과 고사
3. 파초의 문학 형상
4. 파초 도상의 회화적 은유 - 高逸한 인격[芭蕉圍繞]
5. 생활 속 향유로서의 파초 - 奇花異草, 窓外芭蕉와 洗耳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Lee, In-suk). (2010).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대동한문학, 32 , 295-332

MLA

이인숙(Lee, In-suk).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대동한문학, 32.(2010): 295-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