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哭子詩의 창작전통과 양식적 특성

이용수 190

영문명
Compositional Traditions and Generic Characters of Kogjasi(哭子詩)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최재남(Choi, Jae-nam)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2輯, 4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자식의 죽음이라는 아픔을 시로 형상화한 곡자시를 대상으로 슬픔의 반응 양상을 이해하고, 시로 형상화하는 구성 체계와 양식적 특성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자식 잃은 슬픔의 반응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가를 수 있는데, 過哀喪明,善自寬比, 情文得宜가 그것이다. 과애상명은 슬픔이 지나치게 노출되고정이 극대화된 경우이고, 선자관비는 스스로 감정을 절제하면서 너그럽게견주어 위안을 삼는 경우이고, 정문득의는 의례의 절차를 갖춤으로써 정과 예가 마땅함을 얻는 경우이다. 애도시의 구성 요소에서 비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곡자시에서 과애상명의 태도와 관련된 반응이 가장 두드러지고, 다른 사람을 위로하는 입장에서는 선자관비의 태도를 강조하기도 한다. 곡자시의 구성 체계는 몇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시의 앞에 序를 두어서 사설이나 사연 중심으로 구성하기도 하고, 20구 이상의 장편으 로 구성하여 내면의 응어리를 길게 풀기고 한다. 둘째, 단형의 정제된 형식속에 내적 고통을 응축시키면서, 애절한 아픔을 문면과 이면에 걸치게 한다. 셋째, 자식의 죽음을 맞은 고통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진술하면서 반복적 충격과 태도의 변화 등을 반영하기도 한다. 양식적 특성은 자식과 공유했던 화자의 구체적 체험을 진술하고 있어서 체험시(Erlebnislyrik)로서의 특성을 지적할 수 있고, 자식의 죽음이라는 특수한 사건을 맞아 내면을 형상화하고 있으면서 사랑과 죽음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비가(Elegy)로서의 성격도 지니고 있으며, 죽음으로 인한 상실(Mortal loss)로 인하여 심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시간의 추이에 따라 내면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는 점에서, 상실의 서정의 내질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mprehend the compositional traditions and generic characters of Kogjasi(哭子詩). The attitudes of sorrow is classified three categories. First, Kwaesangmyong (過哀喪明), too lament to blind, second, Seonjakwanbi(善自寬比), good comparison for consolation, and the third, Jeongmundeukei(情文得宜), harmonizing affection with ceremony. The compositional organiza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a poem is composed of a preface plus a main work or a long length over twenty phrases. These poems express a telling and the origin and circumstances of a matter. Second, a poem is arranged as a short length of Keunchesi(近體詩). These poems condense inner pains. And the third, poems are composed several times. These poems show the repeated grieves and transition of attitudes. The generic characters of Kogjasi(哭子詩) are considered three viewpoints. First, as Erlebnislyrik, holding experiences in common, second, as Elegy, general elegiac convention on love and death, and the third, lyric poetry based on mortal loss.

목차

1. 서 언
2. 자식 잃은 슬픔의 반응 양상
3. 곡자시의 구성 체계와 양식적 특성
4. 소 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남(Choi, Jae-nam). (2010).哭子詩의 창작전통과 양식적 특성. 대동한문학, 32 , 41-70

MLA

최재남(Choi, Jae-nam). "哭子詩의 창작전통과 양식적 특성." 대동한문학, 32.(2010): 4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