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이용수 130

영문명
A Revival of the Spiritual Heritage from ‘Silver Age’ -Solovyov and Fedorov-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박영은(Park, Young Eu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7권 제2호, 159~1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2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정교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담론의 장으로 활성화된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종교 철학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는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고도 모순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은세기의 다양한 철학적 탐색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것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사상을 고찰하면서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어 있던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에 대한 이해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러시아에 어떤 의미를 던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물질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인간 의식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며, 또한 이것을 토대로 그들이 세계 진화와 역사의 과정, 그리고 인류의 미래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솔로비요프가 ‘소피아론’을 통해 세계의 ‘전일성’의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표도로프는 인류가 당면한 ‘공동의 일’의 수행을 위한 구상을 제시함으로써 ‘사랑’을 통한 인류의 ‘전체성’을 강조한다. 과거와 단절하고 계급투쟁을 통해 인간의 평등을 지향했던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는 결과적으로 과거 를 계승하고 선조들을 부활시키는 공동의 노력, 다시 말해 신의 왕국을 성취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의식의 진보가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들은 개개인이 자율성을 잃지 않는 독립된 개체이면서도 ‘큰 하나’를 이룰 수 있는 인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러시아의 은세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의 우리에 게도 새로운 정신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ultural movement of Silver Age, despised as ‘decadence’ by the Soviet regime, came to public notice as a result of the ideology and the policy of Perestroika. The cultural heritage of Silver Age was again activa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 period of Perestroika.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the heritage is in the Russian Orthodoxy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this regard, a survey of various philosophy of Silver Age, especially the religious philosophy of both Nikolai Fedorov and Vladimir Solovyov i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of both philosophers of religion are regarded totally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s that they share their philosophical origin in common. Considering such points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by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rvey. First of all, the ideology of both Fedorov and Solovyov shows a synthetic outlook on the world, which connects theory with practice, spirit with material, science with philosophy. Contrary to the existing Christian viewpoint, they do not distinguish the spirit from the material, but regard the material as a foundation for a new spirit. Both of them borrow such ideas as ‘evolution’ and ‘resurrection’ from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to ensure their ideas of human spirit and consciousness. Secondly, they suggest the directive of human soul through the medium of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rrection, which means a conquest over death, is come to the fore as a triumph of the spirit over the material. It is resurrection for them to reorganize the distorted condition of the material world by both the struggle and the triumph over death. Thirdly, they consider human nature united in the process of world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ile Solovyov presents the process to the wholeness by the medium of the theory of Sophia, Fedorov puts great emphasis on the inevitability of human union through the ‘common task’, which mankind is confronted. However, it is different for them to bring forward such wholeness. It is more important for Solovyov to go ‘forward’ because he lays emphasis on the future, while for Fedorov ‘backwards’ and the past. Such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at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who try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motherlan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for religious philosophers such as Fedorov and Solovyov presents unique opportunities not only for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ulture but for a groping of the change after the ‘Perestroika’.

목차

논문 개요
Ⅰ. 들어가는 말: 러시아 은세기 정신의 부활 배경
Ⅱ. 솔로비요프: 물질과 정신의 통합과정으로서의 역사인식
Ⅲ. 표도로프: 물질을 극복하는 정신행위로서의 역사인식
Ⅳ.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에 나타난 ‘전체성’의 의미
Ⅴ.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은(Park, Young Eun). (2005).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동유럽발칸학, 7 (2), 159-182

MLA

박영은(Park, Young Eun).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동유럽발칸학, 7.2(2005): 15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