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스니아어의 정체성 연구
이용수 1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Bosnia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권혁재(Kwon, Hyok Jae)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7권 제2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25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이하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이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언어상황에도 새로운 변화를 초래했다. 구유고연방의 최대 공용어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 가 사라진 이후 연방의 개별 공화국들은 자신들의 지역 방언에 기초한 새로운 민족어 확립을 위한 언어정책과 언어개혁에 착수한다. 이들이 목표로 하는 것은 언어적 차별화를 통해 각자의 민족적 정체성을 찾고자하는 것이었다. 연방해체이후 보스니아의 무슬림들은 자신들의 언어적 정체성이 곧 민족적 정체성과 동일시되는 정치적 상황이 발생하자 가장 적극적인 민족주의 언어정책을 실시하였고, 현재 18세기 이후 사라졌던 ‘보스니아어’라는 명칭을 다시 부활시키는데 성공하였다. 1995년 데이턴 협정으로 보스니아 무슬림은 국제적으로 하나의 민족으로 인정받게 된다. 그리고 보스니아 무슬림의 민족적 정체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된다
는 전제하에 ‘보스니아어’는 이들이 사용하는 민족어이며 공용어이다. 그러나 세르비아나 크로아티아어 언어학계는 ‘보스니아어’라는 용어 자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보스니아인’이나 ‘보스니아어’에 대한 논쟁은 두 용어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이 연구는 보스니아어의 정체성 문제를 통시적으로는 보스니아어의 역사적 기원으로부터 출발하여 현재의 언어상황까지 분석하고 공시적으로는 현재 보스니아어가 지니고 있는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와의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some of the debate on the Identity of ‘the bosnian language(bosanski jezik)’. The language situ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the rest of former
Serbo-Croation/Croat-Serbian linguistic community. The language in itself is the least cause of such a state. Now the term Bosnian language is officially used, although Serbs and Croats claim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Bosnian language’. Confusion comes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notion ‘Bosnian’ and ‘Bosnian language’. Two basic ambiguities have been present during the discussion. Is ‘Bosnia’ just another name for the linguistic entit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called ‘Serbocroatian’, or is there a difference, in substance, making it a specific standard language? If it is considered a specific standard language, is it the language of the whole popul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or just of the Bosniaks(Bosnian Muslims). In the article is treated this question form two aspects: diachrony(lingustic development and literary tradition) and
synchrony(today's standard language). In conclusion can be answered positively in the sense that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of bosnian language is still going on. Language policy in Bosnia and Herzegovina will depend on political development. If the political division of Bosnia and Herzegonia continues, there will be a linguistic
division as well.
목차
논문 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1990년 이전까지 보스니아 언어상황
Ⅲ. 1990년 이후의 보스니아 표준어
Ⅳ.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차 대전 후 강제 추방된 독일인의 재산 반환 요구에 대한 폴란드의 입장 연구
-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 시엔키에비츠의 <포즈난 가정교사의 회고> 연구
- 한국어와 루마니아어에서의 번역
- 루마니아어의 신체관련 어휘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 ‘프라하 언어학파의 기능주의’에 대한 연구
- 우크라이나 대통령선거와 글로벌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바실리 숙쉰의 『붉은 나무 딸기(Калина Красная)』연구
- 루마니아 출생 의례연구
- 한국의 신문사설에 나타난 러시아 이미지 분석
- 쿤데라의 <우스꽝스러운 사랑>에 나타난 돈 후안과 부조리한 사랑의 모티프 연구
- 보스니아어의 정체성 연구
- 러시아어 ‘Свобода(svoboda)’의 개념(концепт) 연구
-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기원과 민족문제에 관한 연구
- 『쿠오 바디스』에 나타난 애국적 알레고리 연구
- 게르쩬과 폴란드 문제
- 집시의 기원과 유럽 이주 그리고 루마니아
- 이르지 볼케르(Jiří Wolker)의 시와 체코 프롤레타리아 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