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이용수 621

영문명
A Study on Literary Sketches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gime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金聲振(Kim, Sung-ji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0輯, 203~2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조선후기 소품문의 선편을 잡은 허균이 편찬한 󰡔閑情錄󰡕의 전체적인 흐름은 결국 ‘雅趣’와 ‘養生’으로 귀착될 수 있고, 조선후기 소품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袁宏道 뿐 아니라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소품가인 박지원과 이덕무, 남공철 등도 ‘養生’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이다. 허균은 지금도 난치병에 속하는 소갈증(=당뇨병)으로 고생을 하였고, 이덕무는 안질과 울화증을 포함한 잦은 병치레로 몸이 쇠약해져서 의원으로부터 養生書를 읽을 것을 권유받기도 하였다. 박지원은 우울증을 앓은 바 있고, 남공철은 병이 많아 날마다 의사에게 養生과 益壽의 약에 대해 물어야 할 정도였다. 이들의 病歷이 독서성향과 생활패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품문은 그 무엇보다도 卽生活的인 문학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잦은 병치레를 하였거나 양생관련 서적을 많이 읽은 문인들의 시문에 상대적으로 養生 관련 문구가 많을 것임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허균은 「任老人養生說」 「辟穀辨」을, 박지원은 「金神仙傳」을 지었으며, 이덕무의 『이목구심서』에는 養生에 힘쓴 閔生과 「김신선전」의 주인공인 김홍기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한정록』은 물론 조선후기 소품문을 관류하고 있는 ‘雅趣’와 ‘養生’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면서 조선후기 소품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책으로 『甁史』와 『名山記』를 들 수 있다. 『林園十六志』의 일부인 「葆養志」 역시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핌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덕무는 『임원십육지』를 저술한 서유구의 『楓石鼓篋集』의 각편에 評語를 썼고 서유구는 이덕무의 『蜻蛉國志』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 이덕무와 서유구가 개인적인 친분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니라, 『林園十六志』의 내용 그 자체도 『甁史』와 『名山記』처럼 澆花와 對花, 그리고 看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葆養志」의 ‘壽親養老’라는 篇章은 『壽親養老書』를 의식한 것인데, 이 책은 山水遊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헌이 조선후기 소품가들에게 미친 영향 또는 이들 문헌에 대한 조선후기 소품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소품문과 양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별도로 박지원등에 비해 반세기 이전에 활동했던 김이만과 신정하의 예를 통해, 『甁史』와 『名山記』가 袁宏道의 문학에 심취하는 경로가 되었으며, 接花와 藝木, 그리고 명산의 탐방이 단순한 기호가 아닌 일종의 養生法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甁史』와 『名山記』를 고리로 해서 조선후기 소품문의 연구영역을 김이만과 신정하처럼 17세기 후반의 문인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된 것은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로 여겨지며, 이 부분은 후속연구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Regime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Huh Kyun's Hanjeongrok, the precursor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period, which is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Won Kwengdo, who was a major influence on the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s well as Park Jiwon, Lee Dukmoo, Nam Gongchul also had great interest in the preservation of health. Huh Kyun had suffered from diabetes, which is still an incurable disease. Lee Dukmoo was advised by a doctor to read the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since he was frequently ill due to eye problems and intemperate surges. Park Jiwon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Nam Gongchul was so ill that he had to ask doctor's advice on a daily basis. Their history of illness greatly influenced their taste in reading and lifestyle as well. Since short writings are largely related with daily life, it is reasonable for those who were frequently ill or who read many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to write more on recuperation. For example, Huh Kyun wrote Lim-no-in-yang-saeng-seol(任老人養生說) and Byuk-gok-byun(辟穀辨). Park Jiwon wrote Kim-shin-seon-jeon(金神仙傳). Lee Dukmoo wrote Yi-mok-gu -shim-seo, which is about Moonsaeng, who made an effort to preserve his health and about Kim Hongg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Kim-shin-seon-jeon. Hanjeongrok, a book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influenced writers of short pieces during Late Joseon. "Bo-yang-ji" from Lim-won-shib-yuk-ji(林園十六志),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preservation of health. Lee Dukmoo wrote comments on each chapter of Poong-sok-go-hyub-jib(楓石鼓篋集), written by Seo Yoogu, who wrote the preface for Lee Dukmoo's Cheong-ryung-guk-ji(蜻蛉國志). Not only Lee Dukmoo and Seo Yoogu were friends, but also the contents of Lim-won-shib-yuk-ji which are inseparable from Yowha, Daewha, and Gansan like Byung-sa and Myung-san-gi. "Su-chin-yang-ro" chapter of "Bo-yang-ji" is aware of Su-chin-yang-ro-seo,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ature excurs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 and preservation of health, focusing on the influence short writing made on Late Joseon writers and their works. In addition to finding the relationship, this research also aims to find out that these grafted flowers, aesthetic trees and nature excursions are not mere tastes but a style of recuperation by showing examples of Kim Yiman and Shin Jeongha, both active 50 years ahead of Park Jiwon. Byung-sa and Myung-san-gi provided momentum to get excited over Won Kwengdo's literatu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expand the study area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back to late 17th century writers such as Kim Yiman and Shin Jeongha by showing connections like Byung-sa and Myung-san-gi.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is area.

목차

국문초록
Ⅰ. 序 論
Ⅲ. 「葆養志」와 朝鮮後期 文人의 養生
Ⅱ. 養生의 방편이 된 󰡔甁史󰡕와 󰡔名山記󰡕
Ⅳ. 結 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聲振(Kim, Sung-jin). (2010).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동양한문학연구, 30 , 203-233

MLA

金聲振(Kim, Sung-jin).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동양한문학연구, 30.(2010): 203-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