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간의 존엄에 관한 논의와 개별적 문제로의 적용

이용수 41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이부하(Lee, Boo-Ha)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5卷 第2號, 371~39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헌법상 인간의 존엄성 조항은 객관적인 헌법원칙일 뿐만 아니라, 국가권력에 의해 인간의 존엄성이 침해되거나 보호받지 못할 경우, 침해의 배제를 요구하거나 적극적인 보호를 요구할 주관적 공권으로서의 기본권성도 지니고 있다. 인간존엄의 종기와 관련하여 인간의 존엄은 인간의 사망 전까지 인간에게 부여된다. 인간배아연구와 관련한 법적 문제로는 첫째, 인간의 시기(始期)를 결정하는 문제이고, 둘째, 인간의 생명권과 생명권 내지 다른 법익과 상충시의 해결문제이다. 인간의 시기와 관련하여 인간의 생명은 수정란이 되는 시점부터 하나의 개체는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발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생명권은 생명권과 기본권 상충이 발생할 수 있고, 상충한 경우에 불가피하게 존엄 대(對) 존엄으로서의 형량이 불가피하다. 국가의 의무충돌문제와 관련하여, 인간의 존엄으로부터 근원하는 국가의 기본권수범자로서의 부작위에 의한 존중의무와 국가의 기본권피해자에 대한 기본권보호의무간의 의무충돌이 발생한다. 국가의 존중의무와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가 충돌하는 경우, 인간존엄의 불가침으로 인해 기본권 존중의무를 우선해야 한다. 또한 “구조고문”의 허용여부와 관련하여 인간존엄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고문은 절대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Würde als jedem Menschen zukommende Eigenart verbietet Differenzierungen nach Entwicklungs-, Reife- oder Bewusstseinsgraden. Würde knüpft an das biologische Fundament des Einzelnen an, d.h. an den Beginn des individuellen menschlichen Lebens. Das ist der Moment der Befruchtung. Durch sie wird ein gegenüber Samenzelle und Eizelle, die auch Formen menschlichen Lebens sind, neues, eigenständiges, individuelles Lebewesen gebildet. Durch diese Zusammenfügung wird das genetische Programm der Entwicklung geschaffen. Die Würde kommt dem Menschen bis zu seinem Tod zu. Das menschliche Leben ist die vitale Basis der Menschenwürde. Der Tod ist das Ende auch jeder potenziellen Entfaltungsmöglichkeit. Nach dem Tod wirken postmortale Persönlichkeitsrechte als Reflexwirkungen aus den Würdestatus des Lebenden nach, dem Verstorbenen aber kommt keine Menschenwürde mehr zu. Ein Konzept ist freilich bereits angesprochen, das sich um eine inhaltliche Konkretisierung dessen bemüht, was die Menschenwürde ausmacht. Nach einer neueren Ansicht, der sog. Kommunikationstheorie, stellt sich die Würde des Menschen nicht als Seinsgegebenheit dar, sondern als Relations- oder Kommunikationsbegriff. Demgegenüber erkennt die sog. Mitgifttheorie, die in den Beratungen des Parlamentarischen Rates prägend gewesen ist, das Spezifische der Menschenwürde im besonderen Wert des Menschen, der ihm durch den göttlichen Schöpfer oder durch die Natur verliehen worden ist. Verwiesen wird damit entweder auf eine theologische, insbesondere auf die christliche oder auf eine naturrechtliche Lehre der Weltdeutung. Anstelle dessen sieht die sog. Leistungstheorie erst in der eigenen Hervorbringung das Besondere der menschlichen Subjektivität. Würde muss der Mensch im Wege eines gelungenen Prozesses der Identitätsbildung gewinnen.

목차

<국문 요약>
Ⅰ. 서 론
Ⅱ. 인간 존엄의 주체 및 헌법적 근거
Ⅲ. 인간 존엄과 관련한 구체적ㆍ현실적 문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부하(Lee, Boo-Ha). (2009).인간의 존엄에 관한 논의와 개별적 문제로의 적용. 헌법학연구, 15 (2), 371-398

MLA

이부하(Lee, Boo-Ha). "인간의 존엄에 관한 논의와 개별적 문제로의 적용." 헌법학연구, 15.2(2009): 371-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