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이용수 489

영문명
Deathbed diaries and the daily life of a scholar facing death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오용원 (Oh, Yong-won )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0輯, 113~14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종일기류 자료의 몇 가지 성격과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대산의 「고종시일기」를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먼저 考終者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등 기록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하였다. 완성된 전모를 갖춘 고종일기는 죽음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내용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어나는 제 행위를 기록한 부분과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 관련 과정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후에 행해지는 일련의 상장례 관련 과정을 기록한 것을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라고 하는데, 이는 일기 형식을 갖추어 날짜별로 기록한 경우도 있지만, 전 과정을 절차별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범례이다. 대부분의 고종일기는 門人이 그 기록자였다. 왜냐하면 현존하는 다수의 고종일기가 스승의 죽음을 기록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결국 일기의 내용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나 환경을 기록하는 경우에 가족과 관련된 내용보다는 師弟間의 관계에서 죽음을 맞는 스승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쩌면 血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기보다는 學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기는 현실의 일상적인 생활을 기록한 반면, 고종일기는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일상을 기록한다. 일기의 내용 역시 제한된 공간에서 고종을 맞는 사람의 일상만을 기록한다. 그 기록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병세와 문병자의 명단, 門人과 後孫들에게 남긴 遺訓, 고종자가 맞는 죽음의 태도, 고종자의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와 관련된 일 등을 기록한다.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大山 李象靖(1711~1781)의 「考終時日記」를 통하여 죽음을 맞는 그의 日常을 살펴보았다. 대산의 「고종일기」의 내용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청학한 문도들에 대한 기록이며, 이러한 기록을 통하여 죽음을 목전에 둔 당대 거유의 관심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의 위중한 병세보다 문전에 찾아와 청학하는 문도들에게 좀 더 많은 가르침을 주려는 그의 학문적 배려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죽음을 맞는 그의 태도이다. 그는 육체적인 병고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문병자 뿐 만아니라, 자식들에게 조차 順天의 진리를 역설하였다. 결국 그는 死生 有命의 천리를 순종하며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하였고, 순천자의 모습으로 正終之義를 몸소 실천하였다. 일기는 현실성과 사실성 그리고 일상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인문학은 좀 더 일반 대중들과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단순한 이념이나 이론에만 얽매였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각양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일기류 자료에도 관심을 가져봄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접근해야 하고 새로운 자료를 많이 발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고종일기는 아직 학계에 언급된 적이 없는 자료이며, 인문학 전반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까지 역사적 거대담론에서 바라보았던 선인들의 삶과 죽음을 ‘고종일기’라는 실기문을 통하여 좀더 가까이서 실상을 바라본다면, 그들의 일상에서 새로운 면면들이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deathbed diary material and analysed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deathbed diary of Daesan(大山李象靖, 1711∼1781), which is the model of deathbed diary. Deathbed diaries which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the dying men were named in Chinese character differently according to recorders, for example,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Fully equipped deathbed diaries have two major parts in their contents. One records the things and matters happened until death and the other records the services and processes of funeral after death. The records of after-death processes, called as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were written usually by processes not in sequence of date. Most of existing deathbed diaries were written by disciples - students recorded teachers' death. Therefore, the diaries usually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dying master from the viewpoint of disciples not of family members. It can be said that deathbed diary is the work of academic relation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Common diary records everyday life while deathbed diary records only the affairs of dying man before and after death. Main contents of deathbed diary include the condition of a disease, visitors' list, dying injunctions for disciples and descendants, attitude of dying man toward death and funeral ceremonies and services after death. This paper examined the daily life of dying Daesan through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typical deathbed diary. The most distinctive content of it is the record about disciples who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ir study. The record tells what the dying great Confucian scholar was interested in. He wanted more to give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than taking care of his serious condition. His attitude toward death was adaptation. He emphasized to visitors as well as descendants on following the law of nature. He prepared his inevitable death with obeying the nature law and practiced his teaching by himself. Diary secures actuality, reality and generality. Our humanity needs to find more routes to sympathize with the public.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interest to diary material that show various daily lives than the researches centered on theories or ideologies. For it, wide rage of material should be accessed and more material should be found newly. Deathbed diary has not been introduced till now but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overall humanity field. If the lives and deaths of Song Si-yeol, Lee Sang-jeong or Choi Ik-hyeon were reviewed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ir deathbed diaries, unknown aspects of their daily lives will be known.

목차

국문초록
1.서언
2.考終日記類의 자료적 성격
3.「考終時日記」와 죽음을 맞는 大山의 日常
4.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용원 (Oh, Yong-won ). (2009).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대동한문학, 30 , 113-147

MLA

오용원 (Oh, Yong-won ).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대동한문학, 30.(2009): 113-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