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이용수 788
- 영문명
- (Re)reading the Fengshui Landscape as a Geographical Text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권선정(Seonjeong kwon)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117~13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의 전통 지리학 또는 공간인식체계로 이해되어 온 풍수와 관련된 경관 즉, 풍수경관을 텍스트로 삼아 해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풍수경관에 대한 지리학적 해석은 그것의 형태 외에 의미나 그 의미가 생산, 소비되는 과정 그리고 그를 통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실현되는 효과 등에 주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풍수경관을 사례로 하였다. 첫째, 풍수라는 공간인식체계의 지도학적 재현인 조선시대 고지도를 통해 당시 공유되고 있었던 풍수적 인식의 특징이 현재의 인간중심적 입장과 구분되는 생태중심적 환경관임을 살펴보았다. 둘째, 裨補風水와 관련된 고려시대 비보사찰을 사례로 그것이 장소비보나 명당비보 차원에서가 아닌 지배 권력과 지방 세력 간의 관계에서 경관의 정치 또는 공간통제전략의 주요한 수단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풍수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풍수 形局論과 관련된 形局名을 대상으로 그것이 지표상의 실제 현상을 지시하는 언표적 배치물로서 장소 의미 구성에 주요한 경관텍스트임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Fengshui has been understood as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and geographical thought.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Korean fengshui landscape as a geographical text.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ree landscape texts related to fengshui: old maps of Joseon Dynasty, Buddhist temples of Goryeo Dynasty, and place-names of hyungguk. Firstly, old maps as a geographical representation reflected the epistemological basis of fengshui which could be classified as an eco-centric perspective to human and nature at present. Secondly, a lot of Buddhist temples of Goryeo Dynasty had been constructed as a meaningful means for the politics of landscape by which the ruling classes compromised with regional power groups. Finally, place-names of hyungguk have played important roles in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lace by the linguistic disposition or vicinity among several place-nam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