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이용수 724
- 영문명
- Old Maps of Korea as a Symbolic Landscap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양보경(Bo-Kyung Ya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95~10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지도와 지도에 표현된 내용이 상징 경관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세계지도인 <<천지도>>와 <<천하도>>는 동양 고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의 세계관이 담긴 심상지도이다. 조선의 세계지도에는 조선을 상대적으로 크게 그리고, 군현지도 중에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 아닌 다른 방위로 표시하기도 하며, 서울에서는 도성을, 지방에서는 읍치를 크게 그려 강조하고, 읍치를 지도의 중앙에 그리며, 하나의 지도에 중심부와 주변부의 축척을 서로 다르게 표현한 지도들이 존재한다. 이는 지도제작자와 당시 사람들이 세계 속에서 조선을, 우리 국토 내에서 서울을, 한 지역 내에서는 읍치를 중심으로 생각했던 인식의 상징이다. 또한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들은 지도에 대한 국가적 이념화를 보여 준다. 이 또한 조선시대의 지도들이 지역과 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당시의 실제 경관 사이의 대화의 산물이여, 동시에 사회가 공유한 문화와 철학의 표헌, 상상의 산물이며, 정치와 권력의 반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old maps of Korea can be explained as a symbolic landscape. Cheonji-do(Map of the Heaven and the Earth) was the map reflecting the traditional world view that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in the mutual relation. Also, this map could be the mental map embodies the oriental philosophy which believe that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 The ancient imaginary countries are expressed through Cheoha-do(Circular Map of the World), the symbolic map of oriental mythology. We can find the perspective landscapes that regard Joseon and China as the center of the world, Seoul as the heart of the country and the administrative center as the hub of the county. Maps of the Joseon Period can be a communication tool imbedded in culture, history, selected perspective as well as the reflection of the politics and the pow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