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이용수 686
- 영문명
- Life Style of Seoul Citizen by Consumption: In Case of Urban Novels Since 1950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이은숙(Eunsook Lee) 김일림(Ilrim Kim) 장은미(Eunmi Cha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191~2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울을 배경으로 하는 47편의 도시소설을 대상으로 도시민의 소비생활양식에 관한 내용을 구분하였다. 소비유형은 의식주, 여가문화, 교통통신, 풍속 및 사회상, 의료와 기타로 구분하였다. 도시소설을 통한 도시민의 소비생활양식에 관한 내용들은 각 시대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시대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950년대의 도시민들은 전쟁으로 인하여 어렵게 살아가는 상황 묘사가 많았고, 60-70년대는 산업화 과정을 겪는 도시민의 소비생활의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80년대에는 도시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으로써 서구화된 소비행태들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90-2000년대 는 정보사회와 연관된 특징들이 주요 주제로 나타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vided the consumption lifestyle of the citizen of city, about 47 city novels to doing Seoul background. A consumption types divided Food, clothing and shelte, Spare time culture, Transport and communication, Manners and customs and a social image, Medical care and others. Because the various contents about the consumption lifestyle of the citizen of city through a city novel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time, it was able to confirm a change of the following times with a city novel. In other words, citizens of city of Seoul 1950's, they we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restore the devastated areas after the war. The city formed the frame of the industrial society progressively in 1960-70's, they treated the citizens of city experienced during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1980's is different that in the consumption domain of citizens of city. Also, over the 1990's, characteristics of 2000's appear at affected by the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