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이용수 373
- 영문명
- Ieodotopia in Jejuian Seamanship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송성대(Sungdae So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170~19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어도는 두 개의 섬으로 존재해 왔다. 영원히 미궁의 섬으로서 남아 있어야 할 靈的 장소로서의 ‘신화 속의 이어도’, 그리고 현실에서 수면 위로 솟구친 사실적 장소로서의 ‘지리 속의 이어도’가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두 개의 이어도가 별개가 아닌 하나(不二)의 지리적 장소임을 논증해 보았다. 전과학시대에 이어도에 대한 제주해민들의 신비적 경험과 질곡의 日常이 피안의 이어도 스토리를 낳았다. 그 스토리는 제주해민들의 집단기억(collective memory)으로서 역사 이전의 역사, 즉 메타역사(meta-histories)로 전승되어 왔다. 이어도는 제주해민들의 ‘기억의 장소’(loci de mémoire)으로서 ‘지금, 여기(차안)’로서의 이승과 ‘나중, 저기(피안)’로서의 저승이 만나는 구체적인 지리적 장소다. 이승은 현실의 디스토피아이고 저승은 삶의 질곡에서 해방된 海中樂園으로서의 유토피아다. 이어도라는 이름은 제주인들의 삶의 사고방식을 표상하는 것이며 제주도민의 혼을 보존해가는 정신의 불씨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jurisdictional dispute of Ieodo became a hot issue between Korea and China. Ieodo was already involved culturally within the Korean jurisdiction, China has been arguing that Ieodo naming it Suenjao locates within its jurisdiction. In this paper, Ieodo has been proved as a fact of geographic entity beyond the fictitious Ieodo myth. Ieodo has been existed in two islets: one in 'Ieodo in a mythological story', a spiritual place to be loft over as an eternal mysterious islet and one in 'Ieodo in geography,' a real islet appearing above the sealevel. this paper tried to prove the two islets are one not separated two. Jeju seamen produced an Ieodo story from their myterious experiences and daily fetters in pre-scientific era. The story transmitted as a meta-histories, the history of pre-history in the collective memory of Jeju seamen. Ieodo is a specific geographic place where this world 'now, here' meets with the other world 'late, there'. This world is a dystopia and the other world is a utopia freed from the daily fetters. The name of Ieodo is a representation of Jeju locales' way of thinking about their lives and a spiritual kindling of preserving Jeju locales' spiri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