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이용수 485
- 영문명
- The Background and Painting Style of Ganghwabu Gungjeondo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정은주(Eun Joo Jeo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274~29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江華府宮殿圖》는 1866년 병인양요로 인해 전소돼버린 강화부 궁전의 옛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기록화로, 《동궐도》나《수원궁궐도》등과 함께 19세기 궁궐도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강화부궁전도》는 적어도 1858년(철종 9)에 봉선전이 유수 俞章煥에 의해 復建된 후부터 1866년 병인양요로 소실되기 이전 강화부 궁전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제작시기와 관련하여 『승정원일기』의 기사를 통해 1865년(고종2)에 있었던 강화부 행궁 및 관아, 성곽 등에 관한 보수 작업과 관련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화부궁전도》의 제작 목적은 세부 건물의 규모를 그림으로 기록하여 보수공사를 완료한 후 국왕에게 진상하기 위한 일종의 彩色圖形으로 19세기 일반화된 평행투시도법으로 건물을 布置하고 붉은 색을 비롯한 원색을 주로 사용하여 도감과 의궤의 樓閣 界畵에 능했던 화원이 제작 실무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Ganghwabu Gengjeondo is a masterpiece of Gyehwa (fine-line architectural paintings) compared with Donggwoldo and Suwon Gunggwoldo in the 19th century. Ganghwabu Gungjeondo painted in 1858 to 1866, because Bongseonjeon Hall on th painting was rebuilt in 1858 and every building is destroyed by fire in 1866. According to the Seungjeongwon Ilgi(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the date painted might be related to repairing the facilities and buildings of Ganghwabu in 1865. After repairing works of the buildings, Ganghwabu Gungjeondo was painted to present to the king Gojong (r. 1864-1907) as a plane figure for a briefing. The buildings composed with the parallel perspective generalized and their composition is similar to the plane figures. The painter of Ganghwabu Gungjeondo is most likely to be a court painter to make the state event manua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