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이용수 426
- 영문명
- Study on Understanding Urban Forest in Hanyang, a Capital of the Joseon Period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이기봉(Ki-Bong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21권 제1호, 223~2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전통숲의 용어 사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전통숲을 도시숲·마을숲·기타숲이란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시숲을 국도숲·읍치숲 2개의 유형으로, 마을숲을 양반마을숲·평민마을숲 2개의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다음으로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국도숲이 갖고 있는 특징을 세계사적 보편성과 조선적 특수성의 결합형태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세계사적 측면에서 한양의 국도숲이 갖고 있는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을 매개로 하여 하늘과 연결된 왕의 권위를 표현하기 위해 왕궁·종묘 등 도시의 최고 권위 공간까지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가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둘째, 하늘=산=권위 건물이란 3단계적 상징 경관이 밖에서는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도시 전체를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로 둘러쌓았다. 셋째, 자연적인 산줄기로는 도시를 완벽하게 둘러싸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숲을 조성하였다. 넷째, 숲으로 보호된 산줄기가 도시 내부와 주변에 풍부한 장점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정원숲보다는 자연을 적극 활용한 정원숲이 대다수였다.
영문 초록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forest of Hanyang, a capital of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the world history are as follows: Fist,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was placed deep into the most authoritative space of the city for representing the authority of kings connected to the sky through the medium of mountain. Second, the whole city was surrounded by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for the 'three-factors symbol landscape, that is, the sky is equal with mountain, which is also equal with authority building' not to be seen from the outside. Third, the artificial forest was formed in order to complement a problem that the city was not surrounded completely by the natural mountain ridge. Fourth, mostly there were more garden forests that actively used nature rather than artificial garden forests, and the first type of garden forest was formed by using a merit that the mountain ridge protected by forest was abundant inside and surrounding of the c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 광서연간 조청 양국의 을유·정해감계에 대한 재평가
- 16-17세기 서양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섬 형태 분석과 지리인식에 대한 연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 경관연구의 환경론적 함의
- 종교의 장소성
-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 한국의 문화 경관에 대한 통합적 관점
- 소비를 통해 본 서울 도시민의 생활양식
- 조선전기 國農所에 대한 역사지리적 해석
- 音樂地理學의 구상
- 조선시대의 명산과 명산문화
- 수도 한양의 조선적 국도숲 이해
- 《江華府宮殿圖》의 제작배경과 화풍
- 영어권에서 문화지리학의 발전과 연구동향
- 日本 歷史地理學의 回顧와 今後의 課題
- 프랑스의 문화역사지리학
- 제주 海民들의 이어도토피아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회칙 외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년 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