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용수 214
- 영문명
- The Comparison on Effects of Sampling and Signal to Noise Ratio(SNR) to Increase Speech Discrimin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규(Choi, Sung-Ky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177~1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3,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음성신호를 1B, 2B, 3B 그리고 4B로 표본화 비율을 결정하여 청각장애학생에게 어음변별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성신호를 0, +6, +12. 그리고 +24 SNR로 제공하여 어음변별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은 2B 이상의 표본화 비율이 제공되었을 경우 어음변별력이 좋았다. 그러나 3B와 4B 환경에서의 어음변별력은 2B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SNR은 수치가 높을수록 어음변별력은 향상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공한 SNR 수치 중에서 +24일 경우에 가장 높은 어음변별력을 보였다. 그리고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은 표본화 비율보다는 SNR에 의해 보다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between sampling and signal to noise ration(SNR) to increase the speech discrimin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Sampling with 1B, 2B, 3B, and 4B for the speech signal were introduced, and SNR with 0, +6, +12, and +24 for the speech signal were manipulated at this study. The 2B in sampling is a minimum rate to understand speech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However, the speech discrimination in the 3B and 4B are similar with that of the 2B. The +24 SNR is most effect level to understand the speech sounds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higher SNR is related with more effective speech discrimin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Also this study concluded that SNR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speech discrimination than those of the sampl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