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404
- 영문명
- Application of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Identifying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두(Hong, Sung doo) 김동일(Kim, Dong-il)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211~2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3,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장애 진단 모형은 능력-성취 불일치모형, 중재반응모형을 거쳐 대안적인 다단계 통합모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단계 통합모형은 그 특성상 능력-성취 불일치 모형이나 중재반응모형과는 달리 위계적 혹은 계통적 형식을 가진 측정학적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알맞은 측정학적 방법론이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다단계 통합모형은 궁극적으로 단계적인 분류와 예측을 요구하게 되는 데 이에 적합한 방법 중에 한 가지가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에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기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진단 모형 특히 대안적인 다단계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장애 진단 모형의 발전과 의사결정나무분석에 대해서 개관하고, 학습장애진단에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결정나무분석 기법이 학습장애 진단연구영역에서 세분화, 분류, 예측, 차원축소 및 변수선택, 교호작용효과의 파악, 범주의 병합 또는 연속형 변수의 이산화 측면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t first, we reviewed three major models(ability-achievement discrepancy model,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model, the integrated model) of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we provided a comprehensive review of concept, procedure, types and algorithms, applied example of decision tree techniques.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e decision tree techniques for segmentation, classification, prediction, data reduction, variable screening, interaction effect identification, category merging and discretizing continuous variable for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