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이용수 357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영(Seunghee Park) 박승희(Ji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69~10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현황과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 실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첫 번째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19개 대안학교 초등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1) 대안학교에서의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현황 및 통합교육 실행실태; (2) 대안학교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3) 대안학교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전국 대안학교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는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일반적 실태 정보를 제시하며, 교사들의 통합교육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조사한 연구로서 향후 대안학교에서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필요한 체제를 마련해 나가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안학교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 현황과 실태에 중점을 둔 첫 조사연구이여서 심층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교육 맥락에서 장애학생 교육과 통합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논의를 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다양한 학생들을 위한 양질의 교육 제공과 장애학생을 위한 양질의 통합교육 제공 과제의 제휴를 통하여 모든 학생들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최적합한 학교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후속연구들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대안학교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배려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영문 초록
This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Korea to present information on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158 teachers at 19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1)the current status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t those 19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2)th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and in their schools; (3)the teachers'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quality inclusive education at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opics and policy-making supporting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t alternative schools were provi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